by이지현 기자
2019.05.22 12:01:40
정부 바이오헬스 산업 혁신전략 발표
신약·치료법 개발 의약품 허가 기간 단축
세계시장 점유율 3배↑ 일자리 30만개↑
[이데일리 이지현 기자] 폐암 환자인 유시진(가명)씨는 항암치료를 받았으나 차도가 없었다. 최근 유전자 검사를 통해 폐암 원인이 특정 유전자변이 때문임을 발견했다. 의료진은 유씨에게 맞는 표적항암제를 처방했고 유씨의 암은 크게 호전됐다.
정부는 유씨와 같이 환자 사례 분석을 통해 치료율을 높일 수 있도록 오는 2029년까지 100만명 규모의 바이오 빅데이터를 구축하기로 했다. 혁신의료기기 개발 등을 위해 연구개발 투자비를 매년 7%씩 늘려 2025년 4조원 이상 투자하기로 했다. 관련 일자리 30만개도 육성한다.
정부는 22일 충북 오송에서 이같은 내용의 바이오헬스산업 혁신전략을 발표했다. 지난해 제약·바이오 기업의 신약 기술 수출은 5조3000억원이었다. 2017년과 비교해 4배 증가했다. 의약품·의료기기 등의 수출도 144억달러로 전년에 비해 19% 증가했다. 정부는 바이오헬스산업이 글로벌 강국으로 도약할 수 있는 잠재력이 있다고 보고 비메모리 반도체, 미래형 자동차와 함께 우리나라 차세대 주력산업으로 중점 육성한다는 계획이다.
우선 최대 100만명 규모의 국가 바이오 빅데이터가 구축된다. 환자의 유전체 정보와 의료이용 건강상태 정보를 수집해 국립중앙인체자원은행 등에 보관하면서 환자 맞춤형 신약과 신의료기술 연구개발에 활용할 계획이다. 환자 정보는 희망자를 대상으로 한다. 내년부터 연간 2만명씩 2029년 100만명 규모의 빅데이터 구축 완료가 목표다. 이를 위해 데이터 중심병원을 지정해 현재 병원별로 축적된 대규모 임상진료 데이터를 질환연구, 신약 개발 등에 활용키로 했다.
최소 10년 이상의 기간이 소효되는 신약개발 효율화를 위해 인공지능(AI) 등을 활용한 신약개발 플랫폼을 구축키로 했다. 동물실험·임상시험을 대신해 신약 물질의 효능·독성을 검증할 수 있도록 간과 신장 등에서 추출한 세포 조직을 배양해 인체 장기의 기능과 특성을 모사한 조직칩 개발을 지원키로 했다. 연구기반을 갖춘 병원 중심으로 미래의료 연구개발 선도 사업단을 설치해 바이오헬스 기반기술 연구를 지원한다.
혁신 신약과 의료기기 개발을 위해 2017년 기준 2조6000억원 수준인 정부 투자 연구개발비 규모를 매년 7% 이상씩 확대해 2025년 4조원대로 늘릴 방침이다. 차세대 유망기술로 꼽히는 △재생의료·바이오의약품 개발 △유망 후보물질 발굴 및 중개연구 지원 △융복합 의료기기 및 수출 주력품목 기술고도화 등에 중점 지원할 계획이다.
바이오헬스 분야에 대한 금융·세제 지원도 강화한다. 매출 1조원 이상 국산 신약개발을 지원하기 위해 2022년까지 총 15조원 규모로 조성 중인 스케일업 펀드를 활용해 앞으로 5년간 2조원 이상의 정책금율을 바이오헬스 분야에 투자하기로 했다.
신성장동력·원천기술 R&D 세액공제 대상에 바이오베터 임상시험비를 추가해 이월기간을 5년에서 10년으로 연장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올해 일몰예정인 글로벌 GMP 시설 투자세액공제에 대한 지속 지원방안도 마련키로 했다.
평균 1년 반 정도가 걸리는 바이오 의약품 허가·심사 기간을 관련 인력 충원을 통해 줄여나가기로 했다. 아울러 AI 신약개발, 바이오의약품 생산 등 산업현장 수요에 맞는 제약·바이오 전문인력도 양성한다.
이를 통해 제약·의료기기 등 생산 및 의료서비스 분야에서 2022년까지 10만명, 2030년까지 총 30만명의 추가 일자리가 창출될 것으로 정부는 전망했다. 권덕철 보건복지부 차관은 “바이오헬스 산업 발전으로 혁신 신약을 개발해 희귀난치 질환을 극복하고 제약·의료기기 기술 국산화로 건강주권을 지킬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