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장 안전한 지역 ‘대구 달성’…서울 종로 최하점

by송이라 기자
2018.12.11 14:00:00

광역 지자체 중 경기도 안전 ''최고''
제주는 ''범죄''·세종은 ''화재·생활안전'' 취약

기초자치단체 중 4년 연속 1등급 및 5등급 지역(표=행안부)
[이데일리 송이라 기자] 국내에서 가장 안전한 지역은 대구 달성군이고 가장 안전지수가 낮은 곳은 서울 종로구라는 평가 결과가 나왔다. 우리나라의 안전사고 사망자수는 최근 3년간 꾸준히 감소하면서 지난해 전체 사망자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처음으로 10% 미만으로 떨어졌다.

행정안전부는 11일 이같은 내용이 담긴 2018년 전국 시·도 및 시·군·구별 7개 분야 ‘지역안전지수’를 발표했다.

2015년 도입한 지역 안전지수는 지자체별로 교통사고, 화재, 범죄, 자연재해, 생활안전, 자살, 감염병 등 7개 분야의 안전 수준을 평가해 각각 1∼5등급으로 계량화한 수치다.

분야별로 1등급이거나 1등급에 가까울수록 사망자 수 또는 사고 발생 건수가 적어 시·도 및 시·군·구별로 같은 단위 내 다른 지역보다 상대적으로 더 안전하다는 뜻으로 볼 수 있다.

반면 5등급이거나 5등급에 가까울수록 안전에 취약한 지역이다.

공개된 결과를 보면 기초 시·군·구 중 대구 달성군은 범죄를 제외한 6개 분야에서 4년 연속 1등급을 달성해 가장 안전한 지역으로 조사됐다. 경기 의왕(교통사고, 화재, 범죄, 생활안전, 자살)과 울산 울주(교통사고, 화재, 생활안전, 자살, 감염병)가 5개 분야에서 1등급을 차지해 뒤를 이었다.

반면 서울 종로구는 교통사고와 화재, 범죄, 생활안전, 감염병 등 5개 분야에서 5등급의 불명예를 안았다. 전통적인 구 도심지역으로 인프라가 노후화했고 취약계층이 늘어나면서 분야별 위해지표가 늘어났다는 설명이다.

실제 종로구의 교통사고 사망자는 1년새 약 42% 증가했다.

이밖에 부산 중구와 동구, 강서, 광주 동구, 서울 중구 등이 특정 분야 별로 4년 연속 5등급에 그쳤다.

17개 시·도 분야별 안전등급(표=행안부)
광역 지자체 단위별로 보면 경기도가 5개 분야에서 1등급을 받아 1위를 차지했다. 경기도는 자연재해재(4등급)·범죄(4등급) 분야가 뒤쳐졌지만, 교통사고·생활안전·자살·감염병 분야는 4년 연속 1등급을 유지했다.

세종시가 범죄·자살 등 2개 분야, 서울시는 교통사고·자연재해 등 2개 분야에서 각각 1등급을 차지했다. 3개 분야 이상에서 1등급을 유지한 광역지자체는 경기도가 유일했다.

반면 제주는 생활안전과 범죄, 세종은 화재, 전남은 교통사고, 부산은 자살 등 특정 분야에서 4년 연속 5등급에 그쳤다.



특히 세종은 범죄와 자살 분야에서는 1등급을 차지했지만 화재와 생활안전 분야는 5등급에 그쳐 분야별로 안전수준 격차가 컸다.

행안부 관계자는 “세종시는 도시 형성기로 각종 생활안전 사고기 지속 증가해 전체 특별·광역시 평균보다 위해지표가 악화된 것으로 보인다”며 “전남은 인구 1만명당 자동차 등록대수는 17개 시·도중 2위이고 상승률도 1위인 반면 도로면적당 교통단속 CCTV대수는 1.9대로 최하위권”이라고 설명했다.

지난해와 비교해 등급이 변화한 비율은 약 51.7%로 자연재해(70.4%) 분야의 등급 변화가 가장 많았고 생활안전(35%) 분야가 가장 적었다.

특히 인천(4→3→1등급)의 화재 분야, 서울(4→3→2등급)의 생활안전 분야, 부산(5→3→2등급)의 자연재해 분야는 최근 3년간 등급이 꾸준히 상승했다.

한편 행안부는 이번 지역안전지수 산정에서 세부지표 중 일부를 개선했다. 먼저 범죄와 교통사고 분야에 있는 기초수급자나 자살 분야의 결혼 이민자와 같이 사회적 계층을 나타내는 지표는 삭제했다.

또 도시면적, 총 전입자수 등은 구조적으로 변경이나 개선이 힘들다는 전문가 등의 지적에 따라 삭제한 대신, 자치단체의 노력에 따라 개선이 가능한 폐쇄회로 텔레비전(CCTV) 설치 대수나 자동심장충격기(AED) 대수 등을 추가했다.

다만, 지역안전지수는 전년도 통계자료를 분석해 얻은 결과이기 때문에 주민들이 체감하는 안전수준과는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다는 설명이다.

행안부는 이번 결과를 토대로 2019년 소방안전교부세의 5%를 지역안전지수 결과와 연계해 안전이 취약하거나 노력하는 자치단체에 지원할 계획이다.

또 등급이 낮은 자치단체를 대상으로는 지역안전지수를 활용할 수 있도록 역량강화 교육과 함께 맞춤형 지원(컨설팅)을 실시할 예정이다.

이번 결과는 행정안전부 및 생활안전지도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김부겸 행정안전부 장관은 “지역안전지수는 공개 자체나 자치단체 평가가 목적이 아니라 지역의 안전수준을 제대로 진단하고 과학적으로 개선해 나기기 위한 것”이라며 “앞으로 자치분권의 큰 흐름 속에 안전 분야도 자치단체의 역할이 보다 강화돼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