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안·오, 안·나·오'?... 야권 서울시장 후보 빅3 약칭순서도 신경전

by송주오 기자
2021.01.26 11:01:30

정치관례상 집권여당 먼저 표기…선수·고위공직 유무도 기준
범야권 빅3 경우 복잡·다양한 관계…선수론 나경원 앞서
안철수, 대선후보 경력에 공당 대표…오세훈, 서울시장 경험 우위
"약칭 앞자리 강력한 후보란 인식 줘…기준 세워 표기해야"

[이데일리 송주오 기자] ‘나(경원)·오(세훈)·안(철수)’일까, ‘안·오·나’ 일까. 아니면 ‘오·나·안’인가.

범야권이 오는 4월 서울시장 보궐선거를 앞두고 빅3 구도를 형성했다. 나경원 전 의원과 오세훈 전 서울시장, 안철수 국민의당 대표가 주인공이다. 빅3 구도가 야권 흥행에 청신호를 켰지만, 후보들 간에 신경전도 치열하다. 그 중 하나가 이들 셋을 표현하는 약칭이다. 다양한 표현이 사용되면서 후보들 간 일희일비하고 있다. 가장 먼저 불리면 앞서 있다는 이미지를 각인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단일화 협상을 염두에 두고 있어 우위를 점하는 데에도 유리하다.

야권 서울시장 후보 빅3 약칭순서도 신경전 [그래픽=이데일리 문승용 기자]
정계에서는 약칭을 사용하는 관례가 몇 가지 존재한다. 예컨대 ‘여야’처럼 집권여당을 먼저 쓴다. 이런 법칙은 선거에서도 작용한다. 여당 소속의 후보를 먼저 쓰고 그 다음 야당 소속의 후보를 쓰는 식이다. 대표적인 경우가 지난 2012년 대선이다. 당시 박근혜 새누리당 후보와 문재인 민주통합당 후보, 안철수 무소속 후보가 유력 후보군을 분류됐다. 언론에서는 이들 세명의 약칭으로 ‘박·문·안’으로 표기했다. 집권여당을 먼저 쓰고 제1야당, 그리고 무소속 후보를 표기한 것이다.

또 다른 관례도 있다. 바로 선수(選數)다. 즉, 다선일수록 먼저 쓰고 초선이 마지막에 자리하는 순이다. 지난해 더불어민주당 당대표 경선에서 이낙연(5선), 김부겸(4선), 우상호(4선) 순으로 쓴 것도 이 때문이다. 김부겸 전 의원과 우상호 의원의 경우 선수는 같지만 ‘가나다’ 순과 ‘연령’에서 김 전 의원이 앞선다.



3김(金)정치(김영삼·김대중·김종필)란 표현은 또 다른 기준이 적용됐다. 김영삼 전 대통령은 1954년 제3대 민의원에 당선되며 정계에 입문했다. 김대중 전 대통령은 제5대 민주당 민의원으로 활동하며 정가에 문을 두드렸고, 김종필 전 총재는 1967년 제7대 국회의원에서 금배지를 달았다. 선수로 따지면 김영삼(9선) 전 대통령과 김종필(9선) 전 총재가 김대중(6선) 전 대통령에 앞선다.

김대중 전 대통령과 김종필 전 총재의 순서가 바뀐 이유는 무엇일까. 그건 대통령 당선 유무에서 갈렸다. 김대중 전 대통령은 지난 1997년 제15대 대통령 선거에서 당선되며 꿈을 이뤘다. 반면 김종필 전 총재는 아쉽게 대통령의 꿈을 이루지 못했다. 이렇듯 정계에서 후보 간 약칭은 복잡하고 다양한 기준으로 만들어진다.

나경원(왼쪽) 전 의원, 안철수(가운데) 국민의당 대표, 오세훈(오른쪽) 전 의원. 범야권의 빅3인 이들을 부르는 약칭을 두고 후보 간 미묘한 신경전을 벌이고 있다.(사진=연합뉴스)
다시 야권 빅3로 돌아가 보자. 이들의 관계는 과거보다 복잡하고 기준을 세우기도 모호한 측면이 있다. 우선 기본적인 선수로 하면 나경원 전 의원이 4선으로 안철수(재선) 대표, 오세훈(초선) 전 시장에 앞선다. ‘가나다’ 순으로도 나경원 전 의원이 맨 앞자리를 차지하는 게 정상적인 것처럼 보인다. 다만 집권여당이 아닌 야당인 데다 안철수 대표의 경우 대선 후보였던 점과 현재 여론조사 지지율 1위란 점을 무시할 수 없다. 오세훈 전 시장의 경우 서울시장을 두 번 역임한 경력이 있다. 이런 탓에 언론사마다 ‘나오안’ 혹은 ‘안오나’, ‘나안오’ 등 다양한 표현이 섞여 쓰이고 있다.

박상병 정치평론가는 “정치 관례상 약칭을 쓸 때 집권여당을 먼저 표기해준다”며 “약칭의 앞자리는 유권자들에게 강력한 후보라는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어 각 캠프마다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기준을 정해 표기하는 것이 옳은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