짧아진 겨울, 빨라진 봄…'대한'보다 '소한'이 더 추워져
by김경은 기자
2021.04.28 14:02:20
기상청 109년간 기후변화 추세분석 결과 발표
최근 30년 연평균 기온, 과거 30년보다 1.6도 상승
전지구 기온상승보다 0.8도 높아...도시화, 온실가스 영향
[이데일리 김경은 기자] 산업화와 도시화가 빠르게 진행되면서 최근 30년 한반도의 계절과 24절기가 크게 달라졌다. 기상청이 109년의 기후변화를 관측한 결과 봄과 겨울 기온이 크게 오르고, 봄의 시작이 빨라지면서 가장 추운 절기인 ‘대한’이 ‘소한’에 자리를 내줬다.
28일 기상청이 발표한 우리나라 과거 109년간(1912~2020년) 기후변화 추세분석 결과를 보면 연평균 기온은 최근 30년(1991∼2020년)은 과거 30년(1912∼1940년)에 비해 1.6도 상승했다.
100년 이상 관측자료를 보유한 6개 지점(인천, 부산, 목포, 서울, 대구, 강릉)을 대상으로 관측한 자료다.
10년마다 0.2도씩 상승한 것으로, 계절별로 보면 봄(0.26도)과 겨울(0.24도)의 기온 상승폭이 가을(0.17도), 여름(0.12도)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았다.
이 같은 온난화의 영향으로 올해 서울의 벚꽃이 99년 만에 가장 일찍 개화한 것처럼 계절 시작일과 계절 길이의 변화도 뚜렷했다. 과거 30년 대비 최근 30년 여름은 20일 길어지고, 겨울은 22일 짧아졌으며, 봄과 여름 시작일이 각각 17일, 11일 빨라졌다.
최근 30년 여름은 약 4개월(118일)로 계절 가운데 가장 길고, 가을은 69일로 가장 짧아졌다.
봄과 겨울 기온이 크게 오르고 봄이 빨라지자 가장 추운 절기였던 ‘대한’(음력 12월8일)이 ‘소한’(음력 11월22일)보다 따뜻해졌다.
기후를 표현하는 24절기 기온은 ‘대한’, ‘소한’에서도 영상 기온을 보이면서 0.3~4.1도 상승했다. 특히 대한의 평균 기온이 -2.1도에서 0.9도로 큰 폭 오르면서, 소한(-1.2도→0.8도)보다도 따뜻해졌다.
개구리가 깨어난다는 ‘경칩’, 여름 시작을 나타내는 ‘입하’는 과거 30년보다 각각 13일, 8일 당겨졌다.
특히 우리나라는 전세계 추세에 비해 기온상승폭이 더 크다. 같은 기간 마우나로아관측소(하와이)에서 관측한 전 지구 온도에 비해 우리나라(안면도) 연평균기온 증가는 0.8도 높은 1.6도로, 이산화탄소(CO2) 농도(2019년)는 6.5ppm 높은 417.9ppm을 기록했다. 우리나라의 온난화·도시화가 전 지구 평균보다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고 기상청은 풀이했다. 온실가스배출 뿐만 아니라 도시화의 진행도 빠르다. 지난 99년간(1912∼2010) 기온 상승에서 도시화 영향이 3∼11%를 차지했다는 국내 연구도 있다.
지점별로는 80년 전에 비해 대구와 서울 기온이 각각 2.0도, 1.9도로 비교적 높은 반면, 목표는 0.8도로 도시간 차이를 보였다. 내륙과 해안, 도시화에 따른 차이로 기상청은 설명했다. 이에 따라 가장 더운 부산과 대구의 기온차는 과거 30년 0.9도에서 0.6도 차이로 줄었다.
강수량은 최근 30년은 과거 30년에 비해 연 강수량이 135.4㎜ 증가했고, 강수일수는 21.2일 감소했다. 비가 한번 내릴때마다 강도가 세지는 추세다. 계절별로 보면 여름철 강수량이 10년당 15.55mm로 가을(5.16mm), 봄(1.83mm) 등에 비해 큰 폭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극한기후지수는 폭염·열대야 일수 등 더위 관련 지수의 증가가 뚜렷하고, 호우와 같은 극한 강수 발생일수도 증가했다. 폭염, 열대야 일수는 과거 30년 대비 최근 30년은 각각 1.0일, 8.4일로 증가했지만, 한파, 결빙 일수는 4.9일, 7.7일로 감소했으며, 호우 일수는 0.6일 증가했다.
지구온난화가 가속화될수록 극심한 더위 현상뿐만 아니라 집중호우 등 막대한 피해를 초래하는 극한기후현상이 더욱 빈번하고 강하게 나타나는 추세다. 재난·재해뿐만 아니라 국민 일상건강에 대한 대비도 요구된다.
기상관측은 조선세종 23년 측우기로 비의 양을 측정한 옛 기록부터 시작된다. 근대에는 1904년 인천 임시관측소(스이쯔 여관 임대)를 시작으로, 부산·목포·서울·대구·강릉이 추가돼 1912년에 6곳 측후소에서 관측이 이뤄졌다.
과거에는 사람이 직접 측정·기록하는 수동방식에서, 현재 최첨단 장비를 통한 자동계측으로의 관측기술 발전과 함께 축적된 ‘109년 자료’는, 지구온난화·도시화로 인한 기후위기시대의 증거자료라 할 수 있다.
박광석 기상청장은 “과거 한 세기 기후변화를 통해 다시 한번 기후위기의 심각성을 체감하고, 2030년 온실가스 감축 목표와 2050년 탄소중립까지 숨 가쁘게 달려갈 수 있는 원동력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