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트롤 타워 부재`..메르스맵은 `슬픈 자구책`

by김유성 기자
2015.06.05 15:16:30

현대원 서강대 커뮤니케이션학부 교수 인터뷰
정보 비공개가 국민 불안감 키워 '메르스맵' 관심 높였다는 분석 나와

[이데일리 김유성 기자] “메르스맵은 공적 기능이 제대로 작동하지 못해 나온 자구책이다. 나라가 할 일을 개인이 한다는 건 슬픈 일이다.”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격리 대상자가 1600여명을 넘어서고 국민들이 느끼는 불안감이 높아진 가운데 메르스 감염지도(메르스맵)까지 등장했다. 메르스맵은 개인이 페이스북 페이지에 개설한 홈페이지다. 4일까지 감염 환자들이 거쳐간 병원 이름이 공개돼 있다. 5일 현재 병원 이름은 비공개로 전환됐다.

메르스맵에 대한 관심도 커졌지만 우려 또한 높은 상황이다. 이중 메르스 확산을 막기 위해 능동적으로 일할 컨트롤 타워의 부재, 공무원 사회의 구조적 안일함으로 ‘메르스맵’이 주목받고 있다는 전문가 분석이 나왔다.

메르스맵. (메르스맵 화면 캡처)
현대원 서강대 커뮤니케이션학부 교수는 5일 이데일리와의 통화에서 “시민 사회에서 한 개인이 이같은 정보를 개제한다는 것은 네트워크 사회의 보편적 특징으로 긍정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면서도 “다만 국민들의 불안감이 극도로 높은 시기에 너무나 막중한 문제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현대원 서강대 커뮤니케이션학부 교수
현 교수는 “메르스맵이 사회적으로 주목받는 이유에 대해서 고민해봐야 한다”며 “루머나 괴담이 사람들 사이에서 회자되는 것은 적절한 시점에 제대로된 정보가 공급되지 않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이같은 공백을 메우기 위해 나온 게 메르스맵이라는 뜻이다.



그는 “개인이 수집한 정보를 언론이 보도하면서 신뢰성이 부여됐다”며 “이 과정에서 많은 사람들이 팩트로 착각할 수 있는데 만약 오류가 있을 시 누가 책임질것인가”라고 지적했다.

현 교수는 “공신력 있는 정부, 정부 기관에서 메르스맵을 서둘러 만들어 보여줘야 한다”며 “국민건강관리공단에 접수된 정보와 신용카드 결제 정보 등을 참조하면 격리 대상자의 위치와 동선을 파악할 수 있다”고 조언했다. 정부가 직접 나서 공공기관과 기업의 빅데이터를 활용한 메르스맵을 만들어야 한다는 주장이다.

그는 “공적 기능이 제대로 작동을 못하고 있다는 점을 심각하게 반성해야 한다”며 “하루 이틀이면 만들 작업을 외면하고 주먹구구식 대처로 일관하고 있다”고 질타했다.

또 “(매 재난시 마다) 조직을 만들고 (대책을 세우고 하는 게) 하는 게 아니라 이런 데이터를 제대로 모으고 분석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춰야 한다”며 “정보의 부재에서 오는 불안감이 가장 큰 문제”라고 거듭 강조했다.

현 교수는 “콘트롤 타워의 부재, 관료 조직의 구조적 모순 등이 현 위기를 키웠고 급기야 개인이 나서는 상황까지 왔다”고 결론지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