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에선 제대로 만들 수 없다" 챗GPT, 정부 문서 못 읽어
by김국배 기자
2023.05.11 13:48:58
조승래 의원 주최 '챗GPT 시대 대응과 과제' 좌담회
"데이터 공개·학습 원칙 총괄할 국가 디지털책임자 필요"
AI 윤리 문제, 韓 리더십 발휘해야
초거대AI는 자본 싸움…"정부 공동 투자 등 지원 도움"
[이데일리 김국배 기자] 정부 문서 자료들이 인공지능(AI)이 읽을 수 없는 형태로 돼 있어 국내에서 ‘챗GPT’ 같은 생성 AI가 나오기 어렵다는 지적이 나왔다. ‘데이터가 없다’는 얘기다. AI가 가져올 위험에 대응하려면 ‘국제적 연대’가 필수라는 의견도 제기됐다.
박태웅 한빛미디어 의장은 11일 조승래 더불어민주당 의원 주최로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챗GPT 시대 대응과 과제’ 좌담회에서 “한국에선 챗GPT를 제대로 만들 수가 없다”며 “정부 자료들이 다 기계가 읽을 수 없는 형태로 돼 있고, 판결문도 30%만 열람이 가능하다”고 지적했다.
이날 발제자로 나선 박 의장은 이 문제에 대해 “데이터를 왜 공개하는지 합의가 없었기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그는 “미국의 경우 공공 데이터는 검색 가능하고, 누구나 접근할 수 있어야 하며 기계가 처리할 수 있어야 한다는 등의 원칙이 있어 이 원칙을 지키지 않으면 공공 데이터로 치지 않는다”며 “공공 데이터가 갖춰야 할 요건이 뭔지를 먼저 합의해야 한다”고 했다. 엄열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인공지능기반정책관은 “한국어 생성 AI에 도움이 되는 학습용 데이터가 꾸준히 구축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했다.
이 연장선상에서 국가 디지털책임자(CDO)가 필요하다는 의견도 나왔다. 한상기 테크프론티어 대표는 “정부 데이터 공개 뿐 아니라 학습하는 데 원칙을 결정하고 세우는 것 등을 총괄할 CDO가 있어야 한다”는 의견을 피력했다.
한 대표는 “AI 윤리 원칙을 세우는 데 한국이 리더십을 발휘해야 한다”고 했다. 그는 “국제적인 연대와 협력을 이끌어내는데 한국이 결코 단순한 ‘팔로워’가 되지 않을 수 있다”며 “한국은 대규모 언어 모델(LLM)을 만드는 회사가 5군데나 있고, 전 세계적으로 초거대 AI 생태계를 갖춘 국가는 미국·중국과 한국 정도밖에 없기 때문에 리더십을 발휘할 수 있는 영역이 있을 것”이라고 했다. 박 의장은 “기업들은 AI를 충분히 윤리적으로 학습시켰다고 주장하지만 어떻게 학습시켰는지 공개하지 않는다”며 “AI 윤리 문제는 소수의 IT 천재들에게 맡겨둘 순 없으며 국제적 연대로 풀어야 한다”고 했다.
초거대 AI 경쟁이 ‘쩐의 전쟁’이라 할 정도로 자본 싸움인 만큼 국내 기업에 지원이 필요하다는 요청도 나왔다. 하정우 네이버클라우드 AI혁신센터장은 “투자 비용이 엄청 많이 들어가기 때문에 세제 혜택이나 공공 활용을 조건으로 한 정부 공동 투자 등의 형태로 지원해준다면 도움이 될 것”이라며 “인터넷 초창기 이후 사실상 처음으로 초거대 AI라는 메인 스트림 기술 영역에서 ‘톱’ 포지션을 차지하고 있는 만큼 이 기회를 살리는 게 중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