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소형 주택 등 취약계층 위해 지속가능한 미래 주거 모델 찾아야"

by이윤화 기자
2023.11.08 13:10:02

주거정책 방향 논의 위한 '2023 서울주거포럼' 개최
마사 노구치, 존 온양고 교수 등 세계적 전문가 초청
"저소득층, 고령자 등 주거적 특성 고려한 건축 설계"

[이데일리 이윤화 기자] 반지하, 고시원 등 사회적취약계층의 주거환경 개선을 위해서는 에너지 효율성을 극대화한 건축 뿐만 아니라 주거비를 낮추되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초소형 주택 등 다양한 주거 모델의 보급이 필요하다는 제언이 나왔다.

2023 서울주거포럼에 참여한 내빈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이윤화 기자)
8일 서울시가 개최한 ‘2023 서울주거포럼’에 참여한 해외연사 특별강연자 ‘마사 노구치 호주 멜버른대 교수’, ‘존 온양고 미국 노트르담대 교수’, ‘하비에르 산체스 메리나 스페인 알리칸테대 교수’는 공통적으로 사회취약계층을 위한 지속가능한 주거 모델과 도시기획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존 온양고 노트르담대 교수는 주거 비용을 감당하기 어려운 도심 속 사회취약계층이나 저소득층을 위한 초소형 주택 보급이 확대될 필요성이 있다고 봤다. 존 온양고 교수는 “주택 가격은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지만 소득은 거의 늘지 않고 있고 저소득층과 사회초년생들은 집을 구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면서 “이를 해결할 방법 중 하나는 평수를 줄여 주택에 들어가는 비용을 줄이는 것”이라고 말했다.

온양고 교수는 초소형 주택 보급에 있어 충분한 화재 대피 경로, 사용자에 따라 공간 구성을 바꿀 수 있도록 유연한 공간 설정 등 보다 개선된 조건을 갖추는 것이 중요하다고 봤다. 특히 우리나라의 반지하, 고시원 등의 경우 이런 점들이 부족하다고 분석했다.

그는 “고시원은 대피로가 하나 밖에 없다거나 복도가 너무 좁고, 창문이 없는 가구도 있어서 소방 구출이 어려운 경우가 많았고, 반지하 가구의 경우 이번 포럼 이전 서대문구를 방문해 직접 살펴봤는데 폭우시 강수량을 흡수할 녹지 공간이 충분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온양고 교수는 반지하 주택의 인접 도로 및 보행로에 대한 설계로 침수피해를 어느 정도 해결할 수 있다고 봤다. 그는 “반지하 주택 창문 바로 앞 도로 아래에 저수 탱크를 설치하고 지상 공간에는 나무를 심어두면 폭우시 저수탱크로 물이 흘러간 뒤 천천히 깊은 토양으로 흡수될 수 있을 것”이라면서 “만약 도로가 좁다면 창문 아래에 보행로에 구멍을 파고 저수 탱크를 설치하는 방법도 고려할 수 있다”고 제안했다.

존 온양고 미국 노트르담대 교수. (사진=이윤화 기자)
이날 포럼에서는 고령 인구나 장애인 등을 위한 주거 모델에 대한 개발 필요성도 논의됐다. 하비에르 산체스 메리나 알리칸테대 교수는 “스페인에서도 고령 인구가 증가하고 있어 이들을 위한 주택 건설이 필요한 상황인데, 고령자들의 저축액을 가지고 주택을 설계하고 임대 수익을 가지고 생활할 수 있도록 하는 모델을 진행한 사례가 있다”고 소개했다.

이들은 지속가능한 미래 주거 형태를 찾기 위해서는 사회취약계층의 주거형태와 문제점에 대한 구체적이고 실체적인 조사가 우선되어야 한다고 봤다. 현재 우리나라는 주거약자법에 따른 주거실태조사를 2년마다 한번씩 실시한다고 명시되어 있지만, 보다 더 체계적인 조사와 관리가 필요하다는 취지다.

마사 노구치 멜버른대 교수는 ‘ZEMCH’(Zero Energy Mass Custom Home·젬크)라는 국제 산학연 조직의 연구를 소개하면서 주거실태조사가 보다 정교하게 진행돼야 한다는 점을 강조했다. 건축, 건설, 에너지공학, 신재생에너지, 주거학, 주거복지, 행정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이 참여하는 국제조직인 젬크는 제로에너지 공업화 건축 보급 확대를 위해 2010년 창립해 각 나라별로 센터를 두고 연구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마사 노구치 교수는 “젬크 연구 사례 중 하나인 방글라데시 거주환경 조사에서는 약 50여 가구의 특성에 따라 집을 어떻게 사용하고 있는지, 물리적 환경은 어떤지, 주거 환경에 대한 사람들의 인지와 경험 등도 함께 조사했고 이런 데이터들을 모아 추후 정책 연구 등에 반영할 수 있도록 자료를 가공하고 대학 교육 과정으로도 사용하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