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이태원참사 유족 등 심리치유 일상회복 때까지 지속

by양희동 기자
2023.10.27 15:16:39

1주기 맞아 오는 12월말까지 ''특별 심리지원'' 운영
24시간 핫라인 전화상담 및 징후 발견시 응급 출동
재난경험자 대상 ''1대1'' 트라우마 심리회복 프로그램

[이데일리 양희동 기자]서울시가 10·29 이태원 참사 1주기를 앞두고 유가족, 참사 경험자에게 나타날 수 있는 기념일 반응, 트라우마 증상 등을 예방하기 위해 오는 12월 말까지 특별 심리지원 기간을 운영한다고 27일 밝혔다. 특별지원 기간 이후에도 트라우마 극복을 위한 심리상담, 회복프로그램, 찾아가는 외상 후 스트레스장애(PTSD) 예방 교육 등을 지속적으로 진행, 시민들이 일상을 회복할 때까지 촘촘한 지원을 이어간다는 계획이다.

찾아가는 마음안심버스. (사진=서울시)
서울시는 이번 특별기간 중 긴급상황 발생을 막기 위한 ‘24시간 핫라인 전화 상담 서비스’를 운영한다. 10·29 참사와 관련해 정신적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시민 누구나 이용 가능하며 전문가의 상담을 통해 마음의 안정을 찾도록 돕는다는 취지다. 또 상담 중 극단적 선택 위험 증상이 감지되면 응급출동해 현장 상담과 자해 위험성 등을 평가한 후 필요시엔 입원 등 응급조치도 연계한다. 상담은 1회로 끝내지 않고 상황에 따라 서울 시내 25개 정신건강복지센터에서 상담을 지속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안전 확인 등 모니터링도 철저하게 진행한다.

참사 당일 현장에 있었던 재난경험자들처럼 장기적인 지원이 필요한 시민을 위한 ‘트라우마 회복 프로그램’도 가동한다. 전문가와 ‘1대 1’로 매칭해 대면 또는 화상으로 4~6회 진행하며 일상의 변화를 받아들이는 법, 심리적 어려움 직면 시 대처법, 자기 돌봄 확대 등 체계적인 치유방안을 제시한다.



마지막으로 당일 현장에 출동했던 소방관·경찰관들의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 극복과 예방을 위한 교육’도 마련했다. 참사 경험자만큼이나 현장에서 시민을 구하지 못한 부담감과 죄책감으로 많은 소방관과 경찰관들이 힘들어하는 현실을 반영한 조치다.

이 교육은 △긍정심리 훈련(동북권) △자기치유 위한 세라믹 테라피·호흡법 등 치유전략(중부권) △마음챙김 명상(서남권) △복합외상증상 이해와 대처법(동남권) 등으로 구성된다. 이 중 원하는 교육을 선택해 서울심리지원센터(4곳)으로 신청하면 소방서·경찰서 등 현장을 직접 찾아가 맞춤형으로 진행하는 방식이다.

박유미 서울시 시민건강국장은 “10·29 참사 1주기를 앞두고 심각해질 수 있는 기념일 증상, PTSD를 최소화하기 위한 특별 치유지원 기간을 운영한다”며 “유가족·참사경험자를 비롯한 시민 누구나 참사의 슬픔과 트라우마에서 안정적으로 벗어나 일상을 회복하도록 체계적이고 촘촘한 심리지원을 지속·확대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