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동성 위기' 봉착…현금수송 1위사에 무슨 일이

by서대웅 기자
2023.07.04 16:35:24

은행들 출자설립 ''한국금융안전''
지점 축소에 자금유동성 메말라
1년 반새 직원 21% 줄어 ''줄퇴사''
"회사 망가지면 은행업무도 차질"

(사진=연합뉴스)
[이데일리 서대웅 기자] 은행들이 현금과 중요문서 운송을 위해 출자해 만든 회사인 ‘한국금융안전’(이하 금융안전) 유동성이 메말라가고 있다. 연말 직원 퇴직금을 제대로 챙겨주지 못할 상황까지 다다랐다.

2일 이데일리가 입수한 금융안전 재무부서가 작성한 내부 문건에 따르면 이 회사 자금유동성은 5월 말 현재 30억6800만원에서 6개월 뒤인 오는 11월 말 11억1200만원으로 3분의1 토막날 것으로 회사는 추정했다. 문건엔 12월 말 추정치는 없으나 회사 측은 올해 말 유동성이 필요 대비 약 15억원 부족해질 것으로 보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연말엔 퇴직금 지급 등 처리해야 할 비용이 많아지면서다. 직원으로선 퇴직금을 제대로 받지 못할 수 있는 것이다.

금융안전은 은행들이 현금 및 유가증권, 중요증서 등 운송을 맡기기 위해 1990년 출자해 만든 회사다. 이전까진 관련 업무를 은행들이 직접 해왔다. 현재 우리(15%), 국민(14.96%), 신한(14.91%), 기업(14.67%) 등 은행이 주요 주주로 참여해 있다.

회사 유동성 위기 소문이 퍼지며 직원들의 줄퇴사가 이어지고 있다. 2020년 금융안전 직원 수는 전년 대비 10명 증가(1201→1211명)했지만 지난해 152명 감소했고 올해 들어선 6월 말까지 92명 급감해 현재 910명이 남은 상태다. 1년 반 만에 21%(244명)가 줄었다. 금융안전 한 직원은 “연초 유동성이 부족할 것이란 관측이 많았는데 직원이 줄어들며 비용도 감축돼 그나마 버티고 있는 상황”이라며 “유동성 위기가 해소되지 않는 이상 퇴사가 늦을수록 퇴직금을 받지 못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퇴사하는 직원은 더 늘어날 수 있다”고 했다.



금융안전이 유동성 위기에 봉착한 것은 은행 수요가 줄었기 때문이다. 은행들이 지점을 대거 줄이면서 지점과 본점 간 현금 및 문서 운송 수요 역시 감소한 것이다. 국내은행 지점(출장소 포함)은 2019년 말 6714개에서 올해 3월 말 5771개로 3년여 만에 16% 줄었다. 여기에 은행의 서류 업무 자동화 추세도 금융안전의 매출액 감소 요인으로 작용했다.

대표이사(CEO) 리스크가 더해지며 유동성 위기를 부추겼다는 주장도 일각에선 제기하고 있다. CEO 신뢰 저하로 은행들이 금융안전에 업무량을 줄이고 있다는 것이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최근 2~3년새 금융안전에 맡기던 업무를 다른 업체로 넘기는 경우가 많아진 것으로 안다”며 “주주은행들이 지난해 CEO 연임을 시키지 않은 이유가 있지 않겠느냐”고 했다. 은행들은 지난해 7월 임기가 끝난 김석 전 대표를 재신임하지 않았다. 다만 후임을 정하지 않아 사내이사인 김석 전 대표 대행체제를 유지하고 있다.

문제는 금융안전 사정이 더 나빠지면 은행들의 주요 업무에도 차질이 불가피하다는 점이다. 금융안전은 현금수송 업계 1위 업체다. 현금은 물론 예금잔액증명서, 법인통장, 신용장 등 지점과 본점 간 주요 증서 운송 수요가 여전하다. 또 다른 은행 관계자는 “‘행낭’(은행 중요증서를 아우르는 말) 중에는 아침에 도착하지 않으면 업무가 불가능한 것들도 많다”며 “업계 1위 회사가 한순간에 망가지면 은행들 업무에 큰 차질이 생길 수 있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