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몇년 더 간다"…美 초유의 인플레 위기 덮친 세가지 이유
by김정남 기자
2021.09.28 14:23:22
①글로벌 공급망 붕괴
②원자재가 상승 지속
③주택 임대가격 폭등
[뉴욕=이데일리 김정남 특파원] 전례를 찾기 어려운 인플레이션 충격이 현실화하고 있다. 글로벌 공급망이 대란을 넘어 붕괴 수준까지 치달았고, 그 와중에 원유 같은 원자재 가격이 치솟고 있다. 미국에서는 주택 임대료까지 폭등하며 생활 물가에 직격탄을 날리고 있다.
이번 인플레가 일시적으로 끝날 것이라고 봤던 연방준비제도(Fed)마저 입장이 돌아서는 기류다. 인플레 공포 탓에 예상보다 빨리 금리가 뛰기 시작하면 금융시장까지 약세 압박을 받을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제롬 파월 미국 연준 의장은 27일(현지시간) 상원 금융위원회 청문회 출석을 앞두고 낸 답변서를 통해 “공급망 병목 현상 등으로 인플레 압력이 예상보다 크고 길어지고 있다”고 말했다. ‘인플레는 일시적’이라는 언급을 반복했던 파월 의장이 말을 바꾼 것이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물가 압력이 지속할 위험이 있다는 걸 파월 의장이 인정한 것”이라고 했다.
파월 의장이 인플레 우려를 인정한 건 미국 안팎의 일상에서 물가 충격이 현실로 나타나고 있기 때문이다.
가장 큰 요인은 글로벌 공급망이 완전히 무너졌다는 점이다. 요즘 아시아산(産) 수입품들이 통과하는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LA)항과 롱비치항에는 화물선 수십척이 바다 위에 둥둥 떠있다. 뉴저지주 엘리자베스항 역시 마찬가지다. 미국 경제가 살아나며 수입 수요는 늘고 있는데, 코로나19에 따른 구인난에 물류 하역 처리는 지연되고 있어 벌어진 현상이다.
뉴욕에서 사업을 하는 기업인 A씨는 “가격이 비싼 건 둘째 치고 한국에서 물건을 실어올 선박이 없다”고 토로했다. 40피트(FEU) 표준 대형 컨테이너의 평균 운임은 팬데믹 이전만 해도 3000달러 안팎이었는데, 지금은 2만달러 이상까지 폭등했다는 게 A씨의 설명이다. 해운 운임지표인 상하이컨테이너운임지수(SCFI)는 지난 24일 기준 4643.79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해상 물류는 전 세계 무역의 70% 이상의 비중을 차지한다. 화물의 크기와 단위 무게당 운송비 등을 고려할 때 항공 같은 다른 방식으로 대체하기 쉽지 않다. 또 다른 한국 대기업 인사 B씨는 “현재 해상 공급망은 대란이 아니라 붕괴 수준”이라며 “적어도 오는 2023년까지는 여파가 있을 것으로 본다”고 했다. 국제금융센터의 분석을 보면, 최근 1년 사이 치솟은 해상 운송 비용은 6~12개월 시차를 두고 수입품 가격에 반영될 것으로 추정된다.
여기에 미국 추수감사절, 크리스마스 등 계절적인 수요까지 더해지면 기대인플레는 더 높게 형성될 가능성이 높다. 내년 이후 지금보다 더한 인플레 충격이 닥칠 수 있다는 의미다.
이 와중에 원자재 가격마저 치솟고 있다. 이날 미국 뉴욕상업거래소에서 11월 인도분 서부텍사스산원유(WTI)는 전거래일 대비 2.0% 급등한 배럴당 75.45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2018년 10월 3일 이후 3년 만에 가장 높다. 허리케인 ‘아이다’ 피해를 입은 멕시코만 지역의 원유 생산 시설의 복구가 예상보다 더뎌지면서다. 골드만삭스는 WTI 가격의 연말 전망치를 당초 배럴당 77달러에서 87달러로 높였다. 글로벌 산업계의 공급 비용을 추가로 압박할 수 있는 재료다.
원유뿐만 아니다. 이날 10월물 천연가스 가격은 100만Btu당 5.706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2014년 2월 이후 최고치다.
미국에서는 주택 임대료 폭등 문제까지 겹쳤다. 뉴저지주 버겐카운티 북부 지역은 1년 전만 해도 차고 2개가 있는 단독주택을 월 4000달러 안팎이면 계약할 수 있었지만, 지금은 월 5000달러 이상 올랐다는 게 현지 부동산 중개인들의 설명이다. 1000달러, 한국 돈으로 월 100만원 이상을 더 부담해야 하는 셈이다. 이마저도 계약하려는 이들이 줄줄이 대기하고 있어 아무리 비싸도 계약하는 경우가 부지기수다.
뉴욕주의 한 부동산 중개인은 “한 번 오른 주택 임대료는 또 다른 계약의 기준이 된다”며 “단기간 내에 떨어지지 않는다”고 했다. 최소 몇 년은 가격 상승세가 이어질 수 있다는 경고다.
상황이 이렇자 복합 인플레 충격으로 시장금리가 상승 압력을 받을 것이라는 진단이 나온다. 이날 미국 10년물 국채금리는 장중 1.517%까지 뛰었다. 석달 만의 최고치다. 30년물의 경우 2.045%까지 상승했다. 세계 최대 자산운용사 블랙록은 이날 4분기 전망 보고서를 통해 미국 국채의 ‘비중 축소’ 의견을 냈다. 국채금리가 더 오를 것이니 투자 비중을 줄이라는 의미다.
월가에서는 초저금리 시대가 저물면 위험 회피 심리가 만연해질 수 있다는 분석이 많다. 팬데믹 이후 파티를 즐겼던 뉴욕 증시가 조정 압력을 받을 수 있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