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y강민구 기자
2023.06.20 16:49:18
원안위, '2023 원자력안전규제정보회의' 개최
한수원 디지털 트윈기술 개발해 2025년 완성 목표
새울 1,2호기,SMR 등 적용해 안전 향상 기대
[이데일리 강민구 기자] “한국형 표준원자로인 ‘APR1400(한국형 신형 가압경수로)’을 99% 이상 그대로 가상공간에 재현한 원전 디지털 트윈 기술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실제 발전소에서 발생하는 정보가 실시간으로 가상공간에 구현됩니다. 인공지능으로 그 정보를 분석해 사고 가능성도 예측하고 미리 대비할 수 있습니다.”
원전이 디지털 트윈 기술을 만나 안전에 대한 신뢰성을 강화한다. 김대웅 한국수력원자력 기술혁신처 디지털변환실장은 20일 대전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원자력안전규제정보회의’에서 “디지털 트윈 기술을 앞으로 각종 원전과 소형모듈원전(SMR)으로까지 확대해 적용하겠다”고 밝혔다.
디지털 트윈은 물리적 자산의 기능, 특성, 동작 등을 디지털로 복제해 실제 환경과 똑같이 만드는 기술을 뜻한다. 보안이나 사고 위험성, 인력 부족 등을 이유로 사람이 직접 현장에 가기 어렵거나 인간이 작업을 진행하면 사고나 실수가 발생할 수 있는 상황을 막을 수 있어 신기술로 주목을 받는다.
특히 인공지능(AI)과 빅데이터와 같은 첨단기술과 접목해 사고 징후를 포착하고 위험에 미리 대비하고 관리할 수 있어 원전에는 특히 효과적이라는 평가다.
김 실장은 “디지털트윈 기술을 이용하면 회전설비(진동) 8230대, 전력설비(열화상) 4157대 등 총 1만 2387대의 주요 설비들을 효율적으로 감시하고, 사고를 미리 방지할수 있다”며 “기존 원전 현장에 구축한 주제어실(MCR)과 독립적으로 운영되기 때문에 기존 시스템과 병행해 안전성을 더 높일 수 있다”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