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y이준기 기자
2014.07.24 14:13:16
은행들 표정관리.."수익성 기대"
[이데일리 이준기 김동욱 기자] 다음 달부터 주택담보인정비율(LTV)·총부채상환비율(DTI)이 각각 70%, 60%로 단일화하는 박근혜 정부 새 경제팀의 부동산 규제 합리화 대책이 나오자 상호금융 등 제2금융권이 울상을 짓고 있다. 상당수 고객이 은행 등 제1금융권으로 넘어갈 것이란 우려에서다.
반면 은행들은 이번 대책으로 부동산 경기가 살아날 경우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지속적으로 악화한 수익성 문제가 다소나마 해결될 수 있다며 내심 반기고 있다.
그동안 2금융권을 이용했던 고객 입장에서도 금융기관 간 LTV, DTI 한도가 같아지면 은행이나 보험사에서 돈을 빌리는 게 오히려 이자 부담을 덜 수 있게 됐다. 지금까지는 은행에서 주택담보대출(주담대)을 받으려 해도 한도 문제가 걸려 어쩔 수 없이 고금리 부담을 떠안고 제2금융권을 찾아야 했다.
결국 같은 주택을 담보로 돈을 더 많이 빌릴 수 있었던 제2금융권은 폭탄을 맞은 셈이다. 특히 5월말 기준 주담대 잔액이 55조5000억원에 달하는 상호금융업계가 당장 발등에 떨어지는 불을 꺼야 하는 상황에 처했다.
상호금융의 한 관계자는 “금리가 높아도 고객들이 상호금융을 찾은 것은 시중은행보다 대출을 더 많이 받을 수 있었기 때문”이었다며 “규제 완화로 고객 이탈은 불 보듯 뻔할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근저당 설정비를 2008년 이후 금융사가 부담하고 있는 데다, 오는 9월부터 중도상환수수료도 실제 대출기간을 기준으로 산정하면서 고객 부담이 줄어든 것도 한몫할 것으로 보인다. 고객의 권역별 간 이동이 수월해진 만큼 여파가 더 커질 수 있다는 얘기다.
저축은행업계에도 대책이 미치는 영향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저축은행업계 관계자는 “주담대를 받으려는 고객 입장에선 DTI 규제 등이 풀려 금리가 싼 시중은행을 이용하기가 쉬워진 만큼 굳이 금리가 높은 저축은행으로 발걸음을 돌리지 않을 것”이라고 우려했다.
다만 저축은행의 경우 전체 가계대출에서 주담대(1조원 가량)가 차지하는 비중이 적어 개인대출을 많이 하는 새마을금고와 같은 상호금융 업계에 비해선 타격이 덜할 것으란 게 업계의 관측이다.
제2금융권에서는 결국 은행 이용이 어려운 저신용자들만 몰려 부실 가능성이 커질 수 있다는 우려가 팽배하다. 상호금융의 다른 관계자는 “그나마 신용등급이 높았던 고객들이 이탈하면 (부실) 개연성이 그만큼 커지는 셈”이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