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 위해" 철도노조 파업…시민들은 `출·퇴근 어쩌나` 걱정(종합)

by이유림 기자
2023.09.14 14:24:30

철도노조 서울지부 총파업 첫날
열차 취소·지연으로 시민들 곳곳서 불편·걱정

[이데일리 이유림 기자] 전국철도노동조합(철도노조)가 14일 오전 9시를 기해 나흘 간 본격적인 파업에 돌입했다. 수서행 KTX 도입과 철도 민영화 검토 중지 등을 전면에 내세운 철도노조는 이번 파업을 두고 “시민을 지키기 위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철도노조가 2차 총파업까지 불사하겠다는 의지를 내비치는 상황에서 코레일에서 운영하는 구간을 이용하는 시민들의 불편은 극에 달하고 있다. 특히 철도 외 대체 교통편이 없는 이들은 당장 출퇴근을 어떻게 해야할지 고민이다.

전국철도노동조합이 파업에 돌입한 14일 오후 서울 지하철 1호선 서울역 3번 출구 인근 세종대로에서 열린 철도노조 서울지방본부 총파업 출정식에서 참가자들이 구호를 외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철도노조 서울지부는 서울역 3번 출구 인근에서 총파업 출정식을 열고 ‘철도민영화 중단하고 고속철도 통합하라’, ‘철도쪼개기 중단하고 수서행 KTX 운행하라’, ‘총파업 총투쟁으로 임협투쟁 승리하자’ 등의 구호를 외쳤다. 철도노조의 파업은 지난 2019년 이후 약 4년 만이다.

이들은 수서역을 기반으로 하는 SRT와 서울역을 기반으로 하는 KTX를 분리 운영하는 건 정부가 철도 민영화에 나서려는 발판이라고 주장했다.

철도노조 중앙쟁의대책위원회는 성명서에서 “시민 불편을 해소할 유일한 대안은 수서행 KTX”라며 “국토부가 수서~부산 노선을 감축하며 증편한 KTX 시종착을 수서역으로 하면 된다. KTX와 SRT 연결 운행으로 효율을 극대화하고 KTX와 SRT 운임차별을 해소하면 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철도노조의 총파업은 열차의 안전과 시민 편익을 지키는 투쟁”이라며 “철도노조는 어떠한 탄압에도 굴하지 않고 당당히 일어서 불합리한 철도 쪼개기를 저지하고 시민 불편을 해소할 유일한 대안, 수서행 KTX를 쟁취해 시민 품으로 돌아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비슷한 시각 부산역과 대전역, 영주역과 광주송정역 인근에서도 각각 부산지방본부, 대전지방본부, 영주지방본부, 호남지방본부 총파업 출정식이 열렸다. 이번 총파업으로 오는 17일까지 나흘간 총 1170개 열차가 운행 중지된다. KTX 운행률은 평시대비 68% 수준(SRT 포함시 76% 수준)으로 운행될 전망이다.

전국철도노동조합이 파업에 돌입한 14일 오후 서울 지하철 1호선 서울역 3번출구 인근 세종대로에서 열린 철도노조 서울지방본부 총파업 출정식에서 참가자들이 님을 위한 행진곡을 부르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시민들은 열차 취소 및 지연으로 불편을 겪었다. 서울역에서 만난 박모(81)씨는 “ITX 새마을 열차 역방향으로 겨우 끊었는데 서울역에서 출발하는 게 아니라 청량리역으로 이동해야 한다”며 “파업 때문에 자리가 없는 것은 알고 있었지만 실제로 겪어보니 불편하다”고 밝혔다. 최모(80)씨는 “대구로 내려가야 하는데 오전 열차는 다 매진됐다고 하더라”며 “오후에도 입석만 남았는데 다리가 아파 어려울 것 같다”고 말했다. 청량리역에서 만난 손모(52)씨는 “아버지 댁에 가려 했는데 10시14분 춘천행 ITX 열차가 취소됐다는 문자를 받았다”며 “어찌 될지 몰라서 일단 전화로 먼저 점심 드시라고 말씀드렸다”고 말했다.

파업 소식을 사전에 듣지 못하고 현장에서 열차표를 구매하려던 시민들은 발을 동동 굴렀다. 영등포역에서 만난 김모(39)씨는 “파업한다는 소식을 여기 와서 들었다”며 “올 사람이 못 오고 갈 사람이 못 가니까 참 문제”라고 지적했다.

파업은 직장인·학생들의 주요 출근·등교 시각인 이후인 오전 9시부터 시작됐지만 수도권 전철역 곳곳에서는 평소보다 분주한 출근길 풍경이 펼쳐졌다. 혹시나 싶은 마음에 시민들 다수가 여유 시간을 잡고 나오면서다. 또한 당장 내일부터 어떻게 출퇴근을 해야할지 고민에 빠진 모습이었다. 구로구에 거주하는 이모씨(34)는 “어제 저녁 뉴스로 파업 소식을 들어서 30분 빨리 나왔다”며 “퇴근할 때도 전철이 연착될 수 있어 가능하면 빨리 나오려 한다”고 전했다. 광화문으로 출근하는 이모(40)씨도 “버스 요금이 오른 뒤 지하철을 많이 탔는데 파업 기간 다시 버스를 타야 하나 싶다”며 “(파업을 하더라도) 시민 불편은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해야 하지 않느냐”고 토로했다.

철도노조의 2차 파업 가능성을 걱정하는 목소리도 나왔다. 대학생 배모(24)씨는 “학교 가는 길”이라며 “주 2회는 타야 하는데 혹시라도 파업이 길어질까 봐 걱정된다”고 말했다. 인천에서 서울 목동으로 출퇴근 하는 백모(39)씨는 “지하철이 아니면 이동할 수 있는 다른 교통수단이 거의 없다시피한데 파업 기간 동안 계속 휴가를 쓸 수도 없고 어떻게 출퇴근을 해야하나 걱정”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