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드 베스트셀링 코롤라·시빅..국내서 체면 구긴 이유
by남현수 기자
2019.04.25 10:00:00
[이데일리 오토in] 카가이 남현수 기자= 혼다코리아는 이달 초 준중형 세단 시빅 스포츠를 출시했다. 혼다 시빅은 토요타 코롤라와 함께 북미를 중심으로 준중형 세단 판매량 1,2위를 다투는 월드 베스트셀링 모델이다. 지난해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이 판매된 승용차는 토요타 코롤라로 118만1445대를 기록했다. 코롤라의 영원한 경쟁모델인 혼다 시빅은 82만3169대로 4위에 이름을 올렸다. 그러나 두 모델 모두 국내에서는 존재감이 전혀 없다. 토요타 코롤라는 2011년 국내에 잠시 판매됐지만 판매량이 미비해 1년을 버티지 못하고 단종했다. 혼다 시빅은 줄곧 국내 판매를 하지만 수입차 비인기 차종 순위에 이름을 올린다.
국내 시장을 장악한 준중형 세단은 현대 아반떼와 기아 K3다. 지난해 국내에서 판매된 아반떼와 K3는 각각 7만5831대, 4만4514대로 준중형 세단 시장을 양분한다. 또 다른 국산 모델로 지난해 단종된 쉐보레 크루즈는 3615대를 기록했다. 수입 준중형 세단 중에서 국내 판매 모델은 혼다 시빅이 유일하다. 지난해 판매량은 겨우 345대다. 글로벌 판매 4위에 걸맞지 않은 성적이다. 이런 부진을 설명할 가장 큰 이유는 준중형에 걸맞지 않은 3000만원 전후의 엄청 비싼 가격이다. 수입을 하면서 각종 부대비용이 산더미처럼 불어나 미국에서 2000만원 전후 차량이 국내에서는 3000만원 대로 치솟는 것이다. 성능은 아반떼를 능가하는부분이 꽤 있지만 가격이 20~30% 비싸다 보니 경쟁 자체가 되지 않는다.
코롤라와 시빅은 미국 시장을 중심으로 판매량을 끌어올린 모델인 만큼 여전히 미국에서 인기가 높다. 지난해 미국에서 판매된 시빅과 코롤라는 각각 32만5760대, 30만3732대로 준중형 세단 판매량 1,2위를 나란히 차지했다. 3위에는 닛산 센트라가 21만3046대, 4위에 현대 엘란트라(국내명 아반떼)가 20만415대로 이름을 올렸다. 5위에는 쉐보레 크루즈 14만2618대, 6위 테슬라 모델3 14만317대, 7위 기아 포르테(국내명 K3) 10만1890대, 8위 폴크스바겐 제타 9만794대 순이다. 국내에서 현대 아반떼와 기아 K3의 판매량이 높지만 미국에서는 시빅과 코롤라가 시장을 주도하고 있다.
같은 아시아권 국가지만 중국 사정은 국내와 다르다. 지난해 중국에서 코롤라는 37만6719대 판매됐다. 2017년 대비 9.8% 증가한 수치로 중국 자동차 전체 판매량 5위이자 세단 부문 3위의 기록이다. 시빅의 판매량도 만만치 않다. 지난해 판매량은 전년대비 22.4% 증가한 21만5941대로 세단부문 11위를 차지했다. 현대차 링동(국내명 아반떼)과 기아 K3는 각각 18만8223대, 8만5694대로 각각 세단부문 14위, 45위에 이름을 올렸다. 지난해 중국 세단 판매량 1위 모델은 닛산 실피(46만7638대)다. 뒤를 이어 폴크스바겐 제타의 중국 전략 모델인 라비다가 46만6772대로 2위에 이름을 올렸다.
글로벌적으로 인기가 높은 시빅과 코롤라는 왜 국내에서 판매량이 저조할까?
준중형 수입 세단이 인기를 얻지 못하는 이유는 비싼 가격 이외에 SUV 급성장에 따라 시장을 내주면서다. 여기에 현대기아차의 강력한 내수 장악력이 한 몫 한다. 내수 월판매량에서 2017년부터 현대기아차가 80%를 넘어섰다. 미국(1900만대 시장)이나 중국(2800만대 시장)과 달리 국내 자동차 시장은 180만대 시장으로 규모가 작다. 파이가 작아 여러 업체가 나눠갈 수 없는 시장이라는 뜻이다. 수입차의 경우 국내 진출을 위해선 소비자와 시장에 대한 사전 조사가 먼저다. 이런 조사를 통해 차량의 옵션 구성이나 파워트레인을 결정한다. 이후 인증과 수입에 따른 각종 비용이 더해진다. 수입차 업체 입장에서 준중형 세단 시장은 이미 현대기아차가 95% 이상 점유율을 기록해 막대한 자본을 들여서 진입할 이유가 없는 셈이다. 더구나 국내 판매를 하더라도 홍보 조차 제대로 하지 않는다. 대표적으로 포드 포커스는 2016년 국내 판매량이 저조하자 슬그머니 단종했다.
가장 큰 이유는 역시나 높은 가격이다. 자동차 구매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구매할 때 드는 비용이다. 소비자들은 가격이 비슷해야 동일한 구매선상에 두고 고민을 시작한다. 가격적인 차이가 크면 애초에 비교대상에서 제외시키는 경우가 대다수다. 토요타 코롤라가 국내 판매되던 2011년 당시 가격은 2590만원이었다. 같은 시기 현대 아반떼 시작가는 1340만원이었고 코롤라와 비슷한 옵션을 단 고급형 모델이 2000만원 정도였다.
2019 서울모터쇼에서 공개된 시빅 스포츠 가격은 3290만원이다. 현대 아반떼는 1404만원부터 시작한다. 혼다 시빅 스포츠와 비슷한 등급인 아반떼 스포츠의 경우 모든 옵션을 더해도 2640만원이다. 시빅이 20% 이상 비싼 셈이다.
반면 미국이나 중국에서는 혼다 시빅, 토요타 코롤라와 현대 아반떼, 기아 K3의 가격 차이가 크지 않다. 미국 가격을 보면 시빅 세단 1만9450달러(한화 약2221만원), 토요타 코롤라 1만9500달러(한화 약2227만원)다. 1만4950달러(한화 약1707만원)의 현대 엘란트라(국내명 아반떼)나 1만7790달러(한화 약2032만원)부터 시작하는 기아 K3와 직접 비교가 가능한 차이일 뿐이다.
중국도 사정은 비슷하다. 혼다 시빅은 11만5900위안(한화 약1970만원), 토요타 코롤라는 10만5800위안(한화 약1798만원)부터다. 현대 링동(국내명 아반떼)과 기아 K3는 9만9800위안(한화 약1697만원), 9만6800위안(한화 약 1646만원)부터 시작한다. 4개 모델의 격차가 크지 않은 만큼 미국과 중국의 소비자들은 4개의 모델을 동일 선상에 놓고 고민하면서 구매를 결정할 수 있다. 반면 국내 소비자들은 토요타 코롤라나 혼다 시빅을 고려한다면 가격이 비싸 한 등급 위인 현대 쏘나타, 기아 K5와 비교를 해야 한다.
미국과 중국에서도 코롤라와 시빅의 가격이 아반떼나 K3보다 10% 이상 비싸지만 잘 팔리는 이유는 국가별 소비자의 구매 포인트가 다르기 때문이다. 국내 소비자들은 내가 구매하고자 하는 차량이 어떤 디자인을 갖추고 있는지, AS는 잘 되는지, 중고차로 팔 때 감가가 적은지, 다양한 편의장비를 갖추고 있는지 등을 주로 따진다. 현대기아차는 국산 브랜드인만큼 소비자들의 선호 사양을 정확하게 파악해 개발한다. 이런 이유로 국산 경차에도 열선 시트나 열선 스티어링휠 등을 갖추는 것은 물론 국내 최적화된 내비게이션과 버튼 배치를 적용한다.
수입차는 상대적으로 국내 소비자의 선호를 맞추기 어렵다. 가령 토요타 코롤라의 경우 준중형 세단임에도 1.8L 가솔린 엔진을 장착하고 출시됐다. 국내 소비자들에겐 '준중형=1600cc'라는 인식이 깊게 자리잡고 있다. 당연히 판매에 악영향을 줄 수 밖에 없었다.
미국이나 유럽의 소비자들은 차량을 선택 할 때 브랜드나 차량에 대한 신뢰도가 구매에 결정적인 영향을 준다고 한다. 그렇기 때문에 오랫동안 스테디셀러로 입지를 굳히 토요타나 코롤라, 혼다 시빅의 판매량이 크다. 국내는 위에서 언급한 트렌드를 따라 차량을 선택하는 경향이 강하다. 이런 이유로 사회 초년생을 위한 차로 불리는 현대 아반떼나 기아 K3의 판매량이 압도적이다.
토요타 코롤라와 포드 포커스 등 걸출한 수입 준중형 세단이 쓴 맛을 보고 국내에서 철수했다. 혼다 시빅만이 남아 겨우 명맥을 유지하고 있다. 판매 성공을 위해선 가격을 20% 정도 내리지 않는 한 불가능해 보인다. 결국 국내 시장에서 '구색 갖추기' 용도에 그칠 수 밖에 없는 부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