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y함정선 기자
2011.03.30 15:50:00
[창간기획 코리아 3.0 : 5부]
정부 "이익 비해 요금인하가 미진하다"주장
통신 "지속 투자가 필요한 산업, 마케팅비도 재해석 필요"
[이데일리 함정선 기자] "위원장님, 통신비를 한 사람당 월 1000원 인하하면 소비자들이 만족할까요?"
"월 1000원 인하면 1년에 1만2000원 인하된다는 것인데, 누가 만족하겠는가. 소비자가 체감할 수 있어야 하지 않겠는가"
"그렇다면 월 1만원 인하면 소비자가 체감할까요?. 하지만 한 사람당 월 1만원 인하 정책을 펼치면, 통신사들 수익은 6000억원이 줄어듭니다"
이 대화는 정부가 가계통신비 절감정책을 한창 펼치던 2009년, 최시중 방송통신위원장과 당시 방통위 융합정책실장이 나눴던 얘기를 재구성한 것이다.
이처럼 통신비 인하는 정부의 물가인하 정책과 통신사들의 사업 문제가 톱니바퀴처럼 맞물려 있다. 물가안정을 위해 통신비를 인하하면, 그만큼 통신사 수익이 줄어 투자가 부담이 된다.
최근 기획재정부를 중심으로 한 정부의 통신비 인하 압박에 대해 통신사들이 무조건 "예"라고 답할 수 없는 이유이기도 하다.
정부가 통신사에 통신비 인하 압력을 가하는 이유는 간단하다. `여력`이 있기 때문이란다.
윤증현 기획재정부 장관은 지난 2월9일 경제정책조정회의에서 "통신비는 소비지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5.8%"라며 "통신비를 낮추는 게 서민 생활에 중요한데, 통신산업의 생산성 향상에 비해 가격 인하는 미진하다"고 말했다.
윤 장관이 이같은 발언을 한 것은 통신사들이 통신비를 내릴 수 있는 여력이 있음에도 요금을 인하하지 않는다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다.
실제로 통신사들의 지난해 영업이익은 KT(030200) 2조533억원, SK텔레콤(017670) 2조598원, LG유플러스(032640) 6553억원으로, 총 4조7684억원에 이른다. 이익규모로만 보면 소비자당 월 1만원의 요금인하 여력이 충분한 듯 보인다.
여기에 정부는 통신사들이 지나친 마케팅비를 줄여 이를 요금인하에 활용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지난해 통신 3사의 마케팅비는 7조5000억원에 이른다. 숫자로만 보면, 영업이익을 뛰어넘는 마케팅비를 줄여 요금을 인하할 수 있는 여지가 충분해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