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소비시장, 韓프리미엄 제품으로 공략할 때"

by정태선 기자
2015.12.01 11:00:00

전세계 사치품 소비 절반은 중국인,
對 중국 소비재 수출, 일본 절반..美 1/9에 불과 -
"인증제 도입, 프리미엄 서비스와 결합 필요"

무역협회 제공.
[이데일리 정태선 기자] 중국인들이 전세계 고급 소비재(사치품)의 절반정도를 소비하고 있지만, 우리나라의 소비재 수출비중이 경쟁국보다 크게 낮아 프리미엄 소비재에 대한 마케팅 강화가 절실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무역협회 베이징지부의 최근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인의 1인당 소득(GDP)은 7500달러(2014년) 정도로 높은 수준이 아니지만 중국인들의 사치품 소비액은 1060억 달러에 달해 세계시장(2320억 달러)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46%에 달했다.

특히 중국인들의 자국내 사치품 구매액이 전체의 4분의 1(250억 달러)에 불과하고 나머지는 해외에서 구매하는 ‘외열내냉(外熱內冷, 해외에서의 명품 구매 열기가 중국 내 보다 더 뜨거운 것을 의미)’현상이 뚜렷한 특징을 보이고 있다.

또 중국내 여유자산을 가진 고소득층이 크게 늘면서 사치품 수요층도 빠르게 두터워지고 있다. 최근 3년간 여유자산 600만 위안(약 10억 8000만원)을 갖고 있는 가구는 연간 30%의 고속성장을 통해 올해 말에 201만호에 달할 것으로 보인데 이어 앞으로 5년간은 두자리 수(연평균 11%) 증가세를 유지해 2020년에 346만 호에 달할 전망이다.
무역협회 제공.
더욱이 경제적으로 풍요한 가운데 성장한 80년대와 90년대에 태어난 젊은 세대가 아기를 낳는 시기에 진입하고 있어 아동용 사치품 소비가 급증할 수 있는 토대가 마련됐다는 분석이다. 중국에서 해외직구와 명품 아웃렛의 증가로 해외소비가 자국내 사치품 소비로 전환되는 추세다. 이에 따라 △외양중시→품질 및 실용 고려 △폐쇄적 매장→소비자 접점 강화 △25-35세 젊은 층 주도(여타국은 49세 이상) △신규 브랜드 수용성 제고 △1인당 GDP 1만 달러대 도시 증가 등의 마케팅 환경변화가 나타나고 있다고 보고서는 분석했다.



이에 비냏 한국의 소비재 수출비중이 매우 낮고 고가품 대우를 받는 소비재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의 대중국 수출중 소비재(1차 산품 포함)가 차지하는 비중은 4.1%에 불과해 일본(10.4%)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한다. 독일(6분의 1)과 미국(9분의 1)과는 직접 견주기가 힘들 정도다.

최근 중국에서 새로운 마케팅 채널로 확고히 자리매김하고 있는 온라인 해외 직구관에서 한국산 소비재는 여타 국가 제품에 비해 저렴한 가격대를 형성하고 있다. 중국의 B2C시장에서 80%를 점하고 있는 텐마오(www.tmall.com)와 징둥(www.jd.com)의 해외직구관(국가관) 판매가격을 비교한 결과 징둥 내 화장품은 한국제품 판매가격이 미국과 일본의 3분의 1 수준이었다. 한국산 의류도 미국과 일본산의 절반이하에 불과했다. 텐마오의 영유아 용품도 여타 국가의 절반수준 가격에 그쳤다.

중국인의 사치품 소비규모가 매우 큰 것을 감안해 소비재에 대한 프리미엄 마케팅 강화가 절실히 필요한 시점이라고 보고서는 강조했다. 우리나라 제품의 이미지 제고를 위해 중국 여행객이 주로 찾는 한국내 매장의 프리미엄 제품 비중을 확대하고 해외 역직구 사이트와 항공기 면세판매 등에 대한 마케팅 강화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고가품의 온라인 구매시 가장 큰 문제점이 정품 여부 확인이라는 점을 감안해 반품이나 진위보장에 대한 보험을 통해 마케팅을 차별화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