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y정두리 기자
2024.12.03 12:00:00
한은, '최근 1인 가구 확산의 경제적 영향 평가'
전체 소비지출 20% 차지하지만 경제형편 열악
1인 가구 70%가 연소득 3000만원 미만
번 돈 20%는 월세…주거 대책 등 필요
[이데일리 정두리 기자] 급증하고 있는 국내 ‘1인 가구’가 주거비와 취업난 등에 소비를 줄이며 경제 전체의 소비 회복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기준 세 가구 중 하나가 나혼자 사는 1인 가구로, 이들은 소비 지출도 전체의 20%를 차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내수 기반을 튼튼히 하기 위해 1인 가구의 주거·소득·고용 안정을 높여야 한다는 조언도 나오고 있다.
한국은행이 3일 발표한 ‘최근 1인 가구 확산의 경제적 영향 평가’에 따르면 국내 전체 가구에서 1인 가구가 차지하는 비중은 2023년 35.5%로, 가구원 수 기준 가장 높다. 증가 속도도 코로나19 대유행(팬데믹) 이후 매우 빠른 모습을 보이고 있다.
1인 가구는 청년과 고령층의 비중이 높은 실정이다. 실제 지난해 인구주택총조사를 보면 1인 가구 비중에서 40대 이하는 35.9%, 60세 이상은 36.4%를 기록했다. 1인 가구 수 증가율을 인구요인과 비인구요인으로 나눠보면 20~30대는 비인구요인이, 60대 이상에서는 인구요인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1인 가구의 경제 형편은 대체로 다인 가구에 비해 취약한 모습이다. 2023년 중 1인 가구의 약 70%가 연소득이 3000만원에 미치지 못했으며, 균등화 소득 기준 1인 가구(2606만원)의 평균 소득은 전체 가구(3950만원)에 비해 34.0% 낮았다. 1인 가구 순자산은 2023년 기준 1, 2분위(전체가구기준분위) 비중이 각각 45.1%, 26.9%로 나타나는 등 대부분이 전체 가구 중 하위 50% 내에 분포하고 있다. 1인 가구의 균등화 순자산은 1억 6000만원으로 전체 가구 2억 8000만원의 59.0% 수준에 불과하다.
연령별로 보면 청년층 1인 가구는 주거비에 대한 부담이 컸으며, 고령층 1인 가구는 고용안정성 측면에서 더욱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펜데믹 이후 1인 가구의 평균소비성향이 여타 가구보다 더 크게 약화되면서 경제 전체의 소비회복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