밭농업 기계화율 10년 내 58%→80% 끌어올린다

by김형욱 기자
2018.04.27 09:38:05

농진청, 7차 농업과학기술 중장기 연구개발계획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제1회 심의회의에서 확정

(그래픽=농촌진흥청)


[세종=이데일리 김형욱 기자] 정부가 밭 농업 기계화율을 10년 내 현 58%에서 80%까지 끌어올린다.

농촌진흥청은 지난 25일 열린 대통령 직속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제1회 심의회의에서 ‘제7차 농업과학기술 중장기 연구개발(R&D) 계획’ 안건을 심의·확정했다고 밝혔다.

제7차 농업과학기술 중장기 연구개발 계획은 올해부터 2027년까지 농촌 진흥을 위한 농업과학기술 R&D 계획을 담은 것이다. 농진청은 앞선 6차 계획(2013~2017년) 총 2조4467억원을 투입해 1015개 신품종과 6452건의 영농활용기술, 2902개의 특허를 등록했다. 건식 쌀가루 전용 품종이나 쌀국수·쌀파스타 산업화를 위한 전용 품종, 딸기 자급을 위한 ‘설향’ 등 품종 개발 등이 주요 성과로 꼽힌다.

농진청은 7차 계획의 추진 방향을 농업의 지속·혁신성장과 국민안전·삶의 질·국가균형발전으로 삼고 논에서의 밭 농업 안정 생산이나 차세대 스마트팜 개발 등에 투자키로 했다. 현재 선진국의 83.4%인 농업과학기술 수준을 2022년 905, 2027년 95%까지 끌어올려 세계 3위권에 달성하겠다는 목표다.

농진청은 이 과정에서 밭 농업 기계화율을 지난해 58.3% 수준에서 2022년 75%, 2027년까지는 80%까지 끌어올리기로 했다.



국민 식생활습관 변화로 쌀 수요는 줄어들고 있는데 쌀 생산 감소는 이에 못 미쳐 매년 쌀이 남아돌고 있는 상황이다. 이는 농가 소득 감소와 이를 보전하기 위한 정부 재원 증가 부담으로 이어진다. 또 쌀 자급률만 100%에 육박하고 나머지 작물은 수입에 의존하는 불균형도 낳는다.

정부는 농가가 쌀 생산을 포기하지 못하는 이유 중 하나가 영농 편의(쌀 생산 기계화율 99%)나 안정적 수익이라고 보고 밭 작물의 기계화율을 높여 경쟁력을 키우려 하고 있다.

농진청은 이와 함께 가공용·기능성·사료용 등 용도별 품종 개발과 기계화 적합 품종을 육성키로 했다. 재배기술도 표준화한다. 밭작물 개발품종 보급률도 현 16.4%에서 25%까지 끌어올린다는 목표다. 현재 1.8%에 불과한 밀 자급률도 저알러지·유색 밀 개발·보급을 통해 2022년까지 9.9%로 높일 계획이다.

농진청은 또 4차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농업기상재해 조기경보서비스를 현재 10개 시·군에서 2022년 45개, 2027년 전국으로 확대해 재해 피해를 줄인다는 목표를 세웠다. 또 빅데이터와 인공지능을 활용한 2세대 한국형 스마트팜 기술을 개발해 실용화한다는 목표다. 현재는 정보통신기술(ICT)을 접목해 영농 편의를 높이는 수준이지만 이를 생산성 확대로까지 이어지게 하겠다는 것이다.

농진청 관계자는 “농업·농촌의 지속성장과 국민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선제 기술대응을 강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래픽=농촌진흥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