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식품 탄소중립 로드맵 나왔다…2050년까지 온실가스 38% 감축

by이명철 기자
2021.12.27 14:10:13

저탄소 농업구조 전환, 재배·사육과정 배출원 축소
유통구조 개선하고 에너지 효율화…인센티브도 도입
김종훈 차관 “국가온실가스 감축목표 달성 최대한 노력”

[세종=이데일리 이명철 기자] 2050년 탄소중립 정책에 맞춰 농식품분야에서도 탄소 감축 로드맵을 마련했다. 화학비료 감축 등 친환경 농업을 확산하고 유통과정에서도 탄소 발생을 최소화함으로써 2050년까지 2018년대비 온길가스 배출량을 38% 감축할 계획이다.

김종훈 농림축산식품부 차관이 27일 세종시 정부세종청사에서 농식품분야 2050 탄소중립 이행 로드맵 추진전략을 발표하고 있다. (사진=농식품부)


농림축산식품부는 탄소중립 목표 달성을 위해 이 같은 내용의 ’2050 농식품 탄소중립 추진전략‘을 마련했다고 27일 밝혔다.

정부가 지난 10월 발표한 2050 국가 탄소중립 시나리오을 통해 농식품 분야는 205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을 2018년(2470만t)대비 38% 감축키로 했다.

김종훈 농식품부 차관은 구체적 이행 방안에 대해 “농업을 저탄소 구조로 전환하고 생산·유통·소비과정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를 최대한 감축할 계획”이라며 “생산·유통시설 에너지 전환으로 화석연료를 절감하고 재생에너지를 확대할 것”이라고 소개했다.

우선 디지털·네트워크·인공지능(AI)을 활용한 정밀농업 기술을 2050년 전체 농가 60%까지 보급하고 30개 품목 빅데이터를 확보해 생육모델을 개발할 계획이다. 스마트농업 표준모델을·개발·실증하는 등 스마트팜 확산도 추진한다.

2019년 기준 전체 경지면적의 5.2% 수준인 친환경농업은 2050년 30%로 늘릴 예정이다. 내년 친환경 집적지구 법제화를 검토하고 학교급식·로컬매장·대형유통업체·온라인마켓 등을 통한 시장 확대를 추진한다.



화학비료·가축사료 발생에 따른 온실가스 감축도 중요한 사안이다.



작물 재배 부문에서는 벼 재배 때 발생하는 메탄 배출량을 2018년 630만t에서 2050년 431만t으로 줄일 방침이다. 논에 물을 댈 때 용수 낭비를 줄이는 간단관개(며칠 물을 뺀 후 다시 관개) 농지 면적은 2030년 61%로 확대한다.

적정 비료를 사용해 농경지 아산화질소 배출량은 2018년 547만t에서 2050년 405만t으로 줄이고 질소질 비료 사용도 감축할 계획이다.

축산 부문은 2050년 저메탄사료 보급률을 100% 달성해 사육 과정 온실가스 배출량을 2018년 447만t에서 2050년 198만t으로 감축키로 했다. 축산 분뇨 처리 과정에서 정화처리 비중 확대, 에너지화 이용 등을 통해 온실가스 배출량을 2018년 494만t에서 2050년 437만t으로 줄인다.

농식품 유통 과정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도 최소화한다. 지역농산물이 해당지역에서 소비되도록 먹거리통합지원센터를 늘리고 2050년까지 로컬푸드 직매장을 1800개소로 확대할 예정이다.

2023년 전국 단위 온라인 거래소를 출범해 도매시장 유통과정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를 줄이고 식생활 교육을 강화해 음식물 쓰레기 감축에도 나선다.

에너지 분야에서는 온실단지 중심으로 농촌 태양광 등 재생에너지 공급을 늘리고 에너지 절감시설도 지속 확대한다. 2050년까지는 모든 농기계의 전기 동력화를 통해 온실가스 19만t을 감축한다.

온실가스 감축 활동의 기초가 되는 온실가스 통계·산정방식을 고도화하고 저탄소 직불제 등 인센티브 제도를 도입해 농가의 저탄소 기술 이행도 독려한다.

김 차관은 “농업의 특성과 식량 안보를 고려할 때 온실가스 감축이 어려운 여건이지만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 달성을 위해 최대한 목표를 설정했다”며 “추진전략을 충실히 이행해 탄소중립 달성과 농축수산식품 분야의 지속 가능성을 높이겠다”고 강조했다.

(이미지=농식품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