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창용 IMF 국장 "코로나 지원 중단땐 亞기업 파산 속출할 듯"

by이정훈 기자
2021.03.23 12:21:02

이창용 IMF 아태국장, 블로그서 "亞 코로나 회복 멀었다"
"일자리 파괴·경제불평등·부채증가 등 상처 몇년 더 지속"
"민간부채가 가장 큰 문제…글로벌 긴축시 더 심각해져"
"위험자본 접근성 높이고 비상조치 출구전략도 마련해야"

[이데일리 이정훈 기자] 이창용 국제통화기금(IMF) 아시아·태평양 담당 국장이 코로나19 팬데믹(세계적 대유행)이 남긴 경제적 상처가 아시아 국가들에게 수 년간 더 영향을 미칠 것이며, 특히 치솟은 민간부문 부채가 가장 큰 문제가 될 것으로 점쳤다. 특히 지금의 정부 지원이 사라질 경우 엄청난 규모의 기업 파산이 뒤따를 수 있다고도 경고했다.

이창용 국장 (사진=연합뉴스)


이 국장은 지난 17일 IMF 블로그에 올린 ‘아시아의 미래: 향후 1년 간 나타날 수 있는 변화’라는 제목의 글에서 “시드니 오페라 하우스에서 공연이 재개됐고 일본은 늦춰졌던 하계 올림픽을 다시 준비하고 있고 중국도 2022년 베이징 동계 올림픽에 초점을 맞추고 있지만, 아시아가 코로나19 팬데믹(세계적 대유행)으로부터 완전히 회복됐다고 확답하긴 너무 이르다”고 밝혔다.

그는 “노동생산성 증가세 둔화와 부채 증가, 인구 고령화와 경제적 불평등 심화, 기후변화 대응 등 기존에 안고 있던 장기적인 문제는 더 악화됐다”고 지적했다.

이 국장은 “과거 경험대로 라면 코로나19는 더 오랫동안 영향을 미칠 것”이라며 “과거 경기 침체기에 선진국들은 5년이 지난 시점까지도 국내총생산(GDP) 기준으로 위기 이전보다 5%나 낮아져 앞으로도 따라잡기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또 “코로나19로 인한 일자리 파괴나 빈곤과 경제 불평등 악화, 공공과 민간부문 부채 증가 등은 재정 건전성이 취약한 국가과 기업들에게는 더 심각한 문제”라며 “앞으로도 수년간은 더 이런 상처가 지속적인 영향을 줄 것”이라고 우려했다.

특히 이 국장은 신흥국 경제에서 가장 큰 문제를 역대 최고 수준까지 치솟은 민간부문(기업+가계) 부채라고 지목했다. 그는 “점점 더 많은 기업들이 빚을 갚은 만큼 충분한 수익을 내지 못하고 있다”며 “당장엔 정부 지원으로 생존을 유지하고 있지만, 그 지원이 끊기고 다른 개입이 없을 땐 엄청난 기업 파산의 파고가 뒤따를 수 있다”고 경고했다.



말레이시아, 필리핀, 싱가포르, 태국, 베트남에서 각 업종별로 이자보상비율 1배 미만 기업 비율 (IMF)


그리고 그는 이런 취약성이 아시아 지역에서 더 심각할 수 있다고 봤다. 이어 “경기 회복 과정에서 글로벌 금융시장 여건이 긴축으로 돌아서면 자본 유출과 기업부문에서의 추가 압박이 생겨 더 심각해질 수 있다”고 내다봤다.

이에 대응하기 위해 각국 정부는 민간부문 부채를 해소하기 위한 프레임워크를 선제적으로 강화하면서 적절한 자금 조달 가용성을 보장하는 한편 성장분야로 자원을 재분배함으로써 이를 통해 위험자본에 대한 접근성을 높일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특히 이 국장은 팬데믹 이후 큰 폭의 기준금리 인하와 은행권을 통한 차입자 부담 완화 등과 같은 조치를 취했던 개발도상국들은 심각한 부작용에 시달릴 수 있다고도 우려했다. 그는 “각국 관계자들은 완화적 통화정책과 금융규제 완화 등 파격적 조치에 뒤따를 왜곡을 최소화하는 한편 분명한 출구전략을 마련하는데 초점을 맞춰야 한다”고 조언했다.

아울러 이 국장은 역설적이게도 코로나19가 아시아에 더 나은 미래를 열 기회를 제공했다고도 봤다. 일시적이나마 일자리가 항공, 운송 등 에너지 집약적 사업에서 더 생산적이고 깨끗한 부분으로 옮겨 갔다는 것이다.

그는 “이산화탄소 배출과 오염 등이 가장 심각한 아시아 지역은 더 지속적이고, 친환경적이며 보다 평등한 방법으로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민첩하고 혁신적이어야 한다”며 “아태지역이 이산화탄소 배출, 오염 등에 노출돼 있는 만큼 탄소세 패키지와 관련 시장 정책으로 자본 재분배와 노동 재활용 등을 고민해야 한다”고 제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