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해상풍력 기술잠재력 밝아…2035년까지 일자리 15만개 창출"[ESG워치]

by김경은 기자
2024.02.29 13:16:42

'한국 해상풍력 공급망 활성화 방안' 보고서
국내 기술적 잠재량 624GW 달해
예정 사업 진행시 2035 정부 목표치 초과 달성
행정적 절차에 7~10년 주요 장애요인

출처: 카본 트러스트·플랜1.5
[이데일리 김경은 기자] 우리나라의 해상풍력 시장의 기술적 잠재량이 부유식 해상풍력을 중심으로 약 624기가와트(GW)에 달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아울러 2035년까지 계획된 사업들이 모두 실현되면 설치용량이 정부의 보급 목표를 초과해 25GW에 달하고 15만개의 일자리가 창출될 것이란 전망이다.

29일 영국 환경 인증 기관인 ‘카본 트러스트(Carbon Trust)’와 기후환경단체 ‘플랜1.5’가 공동 작성한 ‘한국 해상풍력 공급망 활성화 방안’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해상풍력 시장 기술적 잠재량은 부유식 해상풍력을 주축으로 624GW에 달할 것으로 추정했다.

아울러 보고서는 현재 예정된 사업 규모를 바탕으로 2035년까지 25GW 규모의 총설치 용량을 달성할 것으로 봤다. 국내 기술적 잠재력 수준으로는 해당 설치용량을 공급하는데 충분한 개발 파이프라인을 보유하고 있다는 것이 보고서의 요지다. 이를 위해 132조원 이상의 투자가 요구되는 것으로 추산했다.

국내 해상풍력 발전용량은 현재 운영 중인 6개 프로젝트에서 139.8MW(메가와트)로 낮은 수준에 머문다. 다만 허가를 획득한 84개 프로젝트 기준으로는 총 27.68GW로 급격한 증가가 예상된다. 이에 해당 시나리오라면 정부 목표치를 초과 달성할 것이란 분석이다.

지난 2017년 정부는 2030년까지 신재생에너지 보급비율을 20%로 확대한다는 목표하에 16.5GW 규모의 풍력 발전용량을 추가하기로 했다. 이후 제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의해 2030년까지 14.3GW를 설치하는 것으로 조정됐다. 10차 전기본은 2021년 국가온실가스목표 대비(30.2%) 신재생에너지 목표를 하향(21.6%)했지만 풍력발전용량 예상치는 종전을 유지했다. 아울러 2030년까지 14.3GW의 해상풍력을 설치한단 별도의 목표도 설정했다.

나아가 보고서는 현재 해상풍력 파이프라인을 고려할 때 국내외를 포함해 2035년까지 총 15만개 이상의 직접적인 일자리 창출을 예상했다.



이에 보고서는 “해상풍력 성장 전망이 밝으며 이를 통해 신재생에너지로의 전환과 경제발전에도 유의미하게 기여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다만 더딘 개발 절차와 가용한 공급 인프라 부족이 핵심 장애물로 꼽힌다고 지적했다. 후보지 선정, 인허가, 전력구매계약 협상 등에 7~10년이 소요되는 더딘 행정절차로 인해 적시 보급에 걸림돌이 될 수 있단 지적이다.

보고서는 “이런 불확실성 해소를 위해 진행 절차 개선이 논의되고 있으며 현 제도하에서도 기존에 추진 중인 프로젝트의 인도 지연을 방지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우리나라 해상풍력 프로젝트는 사업자 주도형 개발방식으로 ‘지자체 및 관련 이해관계자와의 협의 및 단지 선정’에 1~2년, 1차 공유수면점용허가 신청에 1년 이내, 부지 독점 사용권 등 필수 평가 수행과 허가 및 영향평가 결과 승인에 각각 3~4년, 1년씩 걸린다. 생산된 전력 판매를 위한 전력구매계약 체결까지 고려하면 최종 투자 결정 및 건설 계약 확정까지 최장 9년이 소요될 수 있다.

나아가 보고서는 고정식, 부유식 해상풍력 기술의 발전은 한국이 글로벌 해상풍력 시장에서 강자로 부상할 수 있는 잠재력으로 조선, 항만 인프라, 국내 제조 분야의 전력은 정부의 기술 인력 지원을 통해 더 강화될 수 있을 것이라고 제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