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해운대 드론 추락, 예견된 사고다
by채상우 기자
2015.07.30 15:03:50
[이데일리 채상우 기자] 지난 29일 부산 해운대해수욕장에서 항공순찰을 하던 무인항공기 드론이 바다로 추락했다. 해당 드론은 부산시가 해상안전 강화를 위해 운용하던 기체였다. 다행히 드론은 피서객이 없는 2차 통제선에서 벗어난 바다에 빠져 인명피해는 없었지만 자칫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었다.
이번 사고는 최근 전 세계적으로 각광을 받고 있는 드론에 대한 이해도가 높지 않은 데서 비롯됐다.
현재 사용중인 드론은 보완할 점이 많은 불완전한 기체다. 세계 최대 드론 업체 DJI의 제품도 마찬가지다. 아무리 좋은 기종이라고 할 지라도 짧은 배터리 수명을 극복할 수는 없다. 배터리를 사용하는 기체의 비행시간은 10~20분이 고작이며 최대 30분을 넘지 못한다. 이번 사고도 추락 시간이 드론을 띄운 지 15분 이상 지난 시점으로 배터리 방전으로 인한 추락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전파로 조종하는 드론의 특성상 구조물이나 주변에 전파가 많은 도심지역에서는 전파 혼선으로 추락의 위험성이 높다. 부산시도 이번 사고의 원인을 전파불능으로 추정하고 있다.
드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자 드론을 우선적으로 활용해 앞서가는 행정을 하는 것처럼 보이고자 하는 지방자치단체의 태도 역시 문제다.
이번에 부산시가 사용한 드론은 부산시가 위탁업체에 의뢰해 제작한 드론이다. 최대 비행시간은 20분이며 정찰용 카메라나 구조용 물품을 실었을 경우 비행시간은 크게 감소할 수 있다. 무게는 8.5kg에 달해 추락 시 큰 인명피해를 입힐 수 있는 수준이다. 이같은 사고 가능성에도 불구하고 부산시는 드론의 밝은 면만 바라본 채 사업을 강행했다. 제대로 된 안전 가이드 조차 구비되지 않은 상황이었다. 드론의 장밋빛 전망만 쏟아내는 언론의 태도도 문제가 있다.
드론의 기술이 지금보다 훨씬 보완되지 않는 한 무리한 사업화는 더이상 진행돼선 안된다. 드론 전문가들은 배터리 문제와 자동항법장치, 회피기능 등 기술적인 문제에 대해 해결책을 찾아야 한다. 정부와 언론은 드론의 긍정적인 측면만을 조명하는 것을 지양해야 한다. 국민은 보다 안전한 드론 운용과 사업화를 기다릴 줄 알아야 한다. 이런 것들이 지켜지지 않으면 다음번에는 큰 인명피해로 이어질 수 있으며 장기적인 드론산업의 발전은 꿈에서 끝날지 모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