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켓인]"언제까지 대체투자로 묶나" 교직원공제회, 자산분류 개편 고민

by조해영 기자
2022.06.15 14:35:33

주식·채권·대체투자 전통적인 구분 한계
"자산군 성격 따른 분류 체계 개편" 고민
해외 연기금, 기관마다 다른 분류 체계

[이데일리 조해영 김대연 기자] 대체투자의 비중과 중요성이 날로 커지면서 ‘대체투자’라는 이름으로 묶였던 다양한 자산군에 새로운 분류 체계를 적용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기관투자자 내부에서 나오고 있다. 일률적인 주식·채권·대체투자 분류 대신 기관의 특성을 반영한 포트폴리오 기준이 필요하다는 시각이다.

(사진=이미지투데이)
15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교직원공제회는 기존의 자산군 분류 체계를 개편하는 방안을 고민하고 있다. 교직원공제회는 지난해 말 기준으로 42조3963억원 규모의 투자자산을 운용하고 있다. 투자자산은 △대체투자 62.4%(26조4560억원) △주식 20.4%(8조6525억원) △채권 14.8%(6조2778억원) △단기자금 2.38%(1조100억원) 등으로 구성돼 있다.

교직원공제회의 고민은 대체투자라는 이름으로 각기 다른 여러 자산이 묶여 있다는 점에서 출발한다. 교직원공제회는 물론이고 국민연금 같은 연기금과 공제회들은 대체로 주식·채권·대체투자의 자산군 분류를 따르고 있는데, 대체투자 안에는 부동산, 인프라, 기업투자, 벤처캐피탈 등이 모두 들어 있기 때문이다.

대체투자는 기관들이 주식과 채권에 집중하던 과거에는 말 그대로 전통자산의 대안적(alternative) 성격이라는 점을 나타내는 명칭이었다. 하지만 대체투자로 포괄되는 투자 영역이 다양해지고 포트폴리오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커지면서 상황이 달라졌다는 평가다.



교직원공제회는 올해 들어 기존의 분류 대신 자산의 성격에 따른 새로운 구분을 본격적으로 고민하고 있다. 지난달에는 내부적으로 해외 연기금의 사례를 조사하기도 했다. 교직원공제회 관계자는 “연기금, 공제회마다 투자 성격, 자산 성격이 조금씩 다르다”며 “주식·채권·대체투자 대신에 우리 기관에 맞는 옷(분류)을 찾아보자는 것”이라고 말했다.

지난해 말 기준 교직원공제회 투자자산 구성(자료=교직원공제회)
해외 연기금은 국내 기관처럼 주식·채권·대체투자 분류를 일률적으로 따르지 않는다. 캐나다 연기금(CPP)은 연차보고서에서 자산을 △인프라 △부동산 △크레딧 △상장주식 △PE △채권 등으로 구분하고 있으며, 노르웨이 연기금(GPFG)은 △에쿼티 △채권 △부동산(비상장) △재생에너지(비상장)의 큰 구분 아래에 30개에 가까운 세분류를 두고 있다.

자산군 분류 체계의 개편은 목표 수익률이나 벤치마크(BM) 설정, 성과 평가 등과 맞닿아 있는 중요한 문제다. 공제회 업계 관계자는 “기업투자, VC, 선순위 부동산 등이 저마다 상황이 다른데도 대체투자로 묶여 있으면 평가 기준과 목표치를 똑같이 주게 된다”며 “목표 수익률과 BM을 제대로 부여하기 위한 차원에서 필요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규모가 큰 기관은 물론이고 중소형 기관들 역시 수익률을 높이기 위해 다양한 대체투자 자산군을 확대하고 있는 만큼 새로운 분류 체계가 필요하다는 목소리는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연기금 업계 관계자는 “지금 당장 분류를 다 바꾸긴 어렵겠지만 장기적으로 고민해봐야 할 지점”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