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르포]NHN 데이터센터 '각(閣)' 가보니
by이유미 기자
2013.06.20 17:41:49
NHN, 강원도 춘천에 자체 IDC '각' 설립
첨단 기술 적용..천재지변에도 끄덕없어
[강원도 춘천=이데일리 이유미 기자] 강원도 춘천시 구봉산자락에 있는 NHN 네이버의 인터넷데이터센터(IDC) ‘각(閣)’은 다랭이 논밭처럼 층층으로 쌓아놓은 구조다. 건물 외벽엔 얇고 긴 평판 목재를 일정 간격으로 평행하게 늘어놓은 ‘루버’를 설치했다. IDC의 특성과 춘천지역의 기후를 고려했기 때문이다.
IDC는 24시간 서버가 가동되기 때문에 열이 많이 발생한다. IDC의 가장 중요한 요소는 어떻게 열을 덜 받고 열을 식히느냐가 관건이다. 층층으로 쌓은 구조는 산을 타고 올라오는 바람을 유입시켜 서비설의 온도를 낮추는 친환경적 요소를 갖추기 위해서다.
루버는 태양의 직사광선을 최대한 피해 건물이 열을 덜 받고 통풍이 잘 이뤄지도록 해준다. 루버는 공기저항을 최소한으로 줄여 바람을 막지 않아 바람이많이 부는 춘천지역의 특징도 최대한 활용할 수 있게끔 했다.
포털사이트 ‘네이버’를 운영하는 NHN은 국내 인터넷 서비스업체 최초로 IDC 각을 설립했다. 각 프로젝트는 네이버 이용자의 데이터를 안전하게 보관해 후대까지 전하겠다는 아이디어에서 출발했다.
강원도 춘천시 동면 구봉산자락에 자리 잡은 각은 축구장 7배 크기인 5만4229㎡(약 1만6000평)의 부지 위에 건립됐다. 지하 3층, 지상 2층 규모의 관리동인 본관 1개동과 지하 2층, 지상 3층의 서버관 3개동 등 총 4개 동으로 이뤄졌다. 건축비만 1500억원이 들었다.
| ▲ NHN 데이터센터인 ‘각’ 전경‘. 각은 IDC로서 세계 최초로 친환경 인증제도 ’LEED 플래티넘‘을 획득했다.(제공=NHN) |
|
통제센터가 있는 본관을 제외한 북·서·남관에는 인터넷에서 생성된 디지털 데이터가 저장되는 여러 대의 서버가 있는 서버실이 차지하고 있었다.
서버실은 이용자들이 블로그에 올린 이야기나 메일로 주고받은 모든 정보, 모바일메신저 ‘라인’을 통해 주고받은 대화들이 모이는 곳이다. 이용자들이 저장했던 지난 정보를 다시 찾고자 할 때 이곳에 저장된 정보들이 이용자들의 PC, 스마트폰, 태블릿PC 등으로 전달된다. 데이터가 저장되고 이용자가 있는 곳으로 다시 가기까지는 1초의 시간도 걸리지 않는다.
이용자들이 네이버를 24시간 365일 끊임 없이 이용하듯이 IDC의 서버실도 쉬지 않고 작동된다. NHN은 자체 최첨단 기술을 각에 적용해 이를 가능하도록 했다.
가장 중점적으로 신경 쓴 부분이 서버 열을 효율적으로 식히는 일이다. 9대 가량의 서버가 보관된 각에는 35도 이상의 고온에서 견딜 수 있는 자체 개발 ‘서버’, 51개 가량의 서버를 꽂을 수 있는 ‘랙’, 더운 공기와 찬 공기가 섞이지 않게 해 열 손실을 최소화시킨 ‘차폐시스템’, 여름이 길고 고온다습한 한국적 기후에 적합한 ‘외기를 이용한 서버룸 냉각장치(Air Misting Unit)’ 등이 서버실과 설비·인프라 시설 곳곳에 적용됐다.
또 각에 있는 다이나믹 UPS(Uninterruptible Power Supply)실은 진도 9.0 이상의 지진뿐 아니라 홍수, 태풍, 화재 등의 천재지변에서도 무중단 운영이 가능하도록 했다. 비상시 외부로부터 전력 공급이 단절될 경우에도 2.5초만에 전력 공급이 가능하며 72시간까지 자체적으로 전력을 생산해낼 수 있다.
NHN의‘각 프로젝트는 지난 2011년부터 본격적으로 진행됐다. 고려시대 팔만대장경을 보관한 합천 해인사 ‘장경각’의 정신을 이어 ‘21C 장경각’이라는 내부 프로젝트를 통해 추진됐다. 장경각의 의미를 담아 데이터센터 명칭도 각으로 정했다.
그동안 NHN은 KT와 LG CNS, 현대정보기술의 데이터센터를 임대해 사용했다.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는 데이터를 보다 안전하게 보존하기 위해 자체 IDC 설립을 결정했다. 지금까지 IDC 투자비용은 약 1500억원이다.
박원기 NHN IT서비스사업본부장은 “자체 인터넷데이터센터 없이는 네이버 이용자들의 이야기를 모두 담기 어려웠다”며 “네이버에 남기는 이용자들의 정보들을 안전하고 확실하게 기록하기 위해서는 자체 데이터센터가 필요했다”고 말했다.
초당 네이버에서 검색되는 횟수는 4000회, 초당 송수신되는 메일은 2300통, N드라이브에 하루에 올라오는 데이터양은 400테라바이트(Tera Byte) 이상으로 매일 생성되는 새로운 디지털 기록들이 각 서버실에 저장된다. 지난 10여년간 네이버 서비스를 통해 생성된 데이터는 약 180페타바이트(Peta Byte, 테라바이트의 1024배) 가량이다.
박원기 본부장은 “다양한 국가의 언어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글로벌 기업들이 비즈니스 여건에 따라 국가별 서비스의 존폐까지 결정하는 상황에서, 한국에 뿌리를 둔 국내 인터넷 기업 최초의 자체 IDC 건립은 한글로 된 디지털 자산을 지켜낼 수 있는 터전이 마련된 셈”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