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후년까지 서울시 탈시설장애인 자립지원주택 459호로 는다

by양지윤 기자
2020.04.08 11:15:00

장애인 니즈 등 고려 3종 맞춤 지원

[이데일리 양지윤 기자] 서울시는 현재 170호 규모인 장애인 자립지원 주택을 오는 2022년까지 총 459호로 3배 가까이 늘린다고 8일 밝혔다.

이에 따라 시는 장애인의 다양한 니즈와 경제적 상황 등을 고려해 각자 필요한 지원을 맞춤형으로 받을 수 있도록 3종의 주택사업을 시행한다. 주택 공급과 주거생활 서비스를 적절히 병행한다는 계획이다.

탈시설 장애인이 지원주택에 첫 입주하고 있다.(사진=서울시)


3종은 공공임대주택 입주와 주거생활서비스가 동시에 이뤄지는 ‘공급형 지원주택’, 거주하고 있는 집에서 주거생활서비스만 받을 수 있는 ‘비공급형 지원주택’, 지역사회로 정착하기 전 자립생활을 체험해볼 수 있는 중간단계 주거형태인 ‘자립생활주택’이다.



우선 서울시가 전국 최초로 시작한 공급형 지원주택의 경우 올해 60호를 시작으로 매년 60호씩 확대해 2022년까지 총 248호를 공급한다.

비공급형 지원주택은 이달부터 동남권과 서남권에서 40호에 주거서비스를 지원한다. 오는 2021년에는 3개 권역(동남·서남·동북권) 80호, 2022년에는 4개 전 권역(동남·서남·동북·서남권) 총 120호까지 확대한다.

자립생활주택은 올해 5호를 추가 공급한다. 현재 76호 운영하고 있으며 128명 거주하고 있다. 오는 2022년까지 총 91호로 늘려나갈 방침이다.

강병호 서울시 복지정책실장은 “장애인 인권 증진의 핵심 목표인 탈시설 정책을 안정적으로 추진하기 위해서는 지역사회에서의 자립에 대한 당사자의 두려움을 덜어주는 것이 중요하다”며 “공급형?비공급형 지원주택과 자립생활주택을 지속 확대·지원해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