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업체 종사자 52만명 늘었지만…“유가상승·금리인상 고용 불안요소”

by최정훈 기자
2022.03.31 12:00:00

고용부, 2022년 2월 사업체노동력조사 결과 발표
사업체 종사자 수 전년 동월 대비 52.8만명 늘어
임시일용직 증가율 가팔라…“숙박음식점업 등 일용직 늘어”
“유가 상승에 따른 원자재 가격 인상, 고용 영향 지켜봐야”

[이데일리 최정훈 기자] 지난달 사업체 종사자 수가 전년 동월 대비 52만 8000명이 늘어나며 고용 회복세를 유지하고 있다. 다만 고용 충격이 컸던 숙박음식점업 등은 임시일용직 위주로 종사자가 늘어나고 있다. 정부는 우크라이나 사태로 인한 유가 상승과 금리 인상 등이 일자리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지난달 10일 오후 서울 중구 고용복지플러스센터 모습.(사진=연합뉴스)
고용노동부의 ‘사업체 노동력 조사’ 결과에 따르면 2월 마지막 영업일 기준 1인 이상 사업체 종사자는 1894만 4000명으로 전년 동월(1841만 6000명)대비 52만 8000명이 늘었다. 이번 증가폭은 코로나19 사태 이전인 2019년 7월 이후 가장 크다.

사업체 종사자 수는 코로나19 영향으로 2020년 2월부터 감소세가 이어지다 지난해 3월부터 증가세로 전환된 뒤 12개월째 유지하고 있다. 고용부는 이번 증가세가 코로나19로 인해 전년 동월 종사자 수가 감소한 기저효과 등의 영향이라고 설명했다.

이번 증가폭은 상용직과 임시일용직이 각각 절반가량 차지하고 있다. 양질의 일자리인 상용직 근로자는 전년 동월 대비 28만 5000명이 증가했다. 임시일용직은 24만 4000명 늘었다. 300인 미만 사업장에서 44만 4000명이 늘어나는 등 중소기업 종사자 수가 대폭 늘어났다. 300인 이상 사업장도 8만 4000명이 증가했다.

임시일용직 종사자는 두 달 연속 증가율이 14% 이상을 기록하며 가파르게 늘어나고 있다. 정향숙 고용부 노동시장조사과장은 “임시일용의 규모 자체가 200만명 미만으로 굉장히 규모가 작기 때문에 조금만 증가해도 증가율이 크게 나타난다”고 설명했다.

정 과장은 이어 “다만, 보건·사회복지 서비스업이나 전문과학기술 서비스업, 정보통신업 등은 주로 상용직 위주의 고용 증가가 이뤄지고, 임시일용은 숙박음식점업 위주기 때문에 임시일용 위주의 고용시장 회복이라고 보기는 어렵다”고 전했다.



산업별 사업체 종사자 수를 살펴보면 코로나19 백신접종 일자리 등으로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 일자리가 12만 9000명으로 가장 많이 늘었다. 전 산업 중 종사자 수 비중이 가장 큰 제조업 종사자 수는 4만 1000명 증가하면서 10개월째 증가세를 유지했다.

자료=고용노동부 제공
특히 숙박 및 음식점업의 종사자 수도 6만 4000명이 늘어나면서 4개월 연속 증가세다. 숙박 및 음식점업은 2020년 초 종사자 수가 감소세로 돌아선 뒤 21개월 동안 감소세를 이어가다 지난해 11월부터 증가세로 전환됐다.

정 과장은 “숙박음식점업은 상용의 채용도 지금 계속 증가하고 있지만 코로나 이전 수준을 회복하지는 못한 상태”라며 “외부환경의 불확실성 등으로 우선 임시일용직의 회복 이후 더 안정이되면 상용 회복도 확대될 것으로 전망한다”고 말했다.

지난달 채용된 종사자는 78만 8000명으로 이 중 상용직은 34만 1000명으로 4만 8000명 늘었고, 임시일용직은 44만 6000명으로 2만 3000명이 증가했다. 증가한 산업은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1만 7000명), 숙박 및 음식점업(1만 6000명) 순이고, 감소한 산업은 운수 및 창고업(-6000명), 예술, 스포츠 및 여가관련 서비스업(-1000명) 순이다.

정 과장은 “지금 코로나 외에도 우크라이나 사태와 유가 상승 등의 문제가 같이 맞물려 있고, 금리 인상 등 부정적인 요인들도 있다”며 “특히 유가 상승의 경우에는 원자재 가격의 상승과 연결되는 문제가 있어서 고용시장 영향을 지켜봐야 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상용근로자 1인 이상 사업체의 지난해 근로자 1인당 월평균 임금총액 472만 2000원으로 전년대비 21.8%(84만 5000원) 증가했다. 특히 상용직 근로자의 임금총액은 502만원으로 역대 최대였다. 명절상여금 지급시기 변경, 제조업, 금융 및 보험업,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 등에서 성과급 확대 등의 영향이라고 고용부는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