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 응급실 진료 불가능"…응급 의료 현장 곳곳서 위험 신호 감지

by이영민 기자
2024.02.20 14:34:02

전공의 파업 첫날 대학병원 의료 공백 가시화
환자와 보호자 모두 치료 밀릴까 진땀 흘려
"외래진료 분산, 응급환자 집중해야…2주가 최대"

[이데일리 이영민 기자] 전공의들의 집단 파업이 시작된 첫날 오전 서울 빅5 대학병원(서울대·세브란스·삼성서울·서울아산·서울성모병원) 응급실은 평소처럼 운영됐다. 하지만 오후부터 의료진 부족에 의한 치료 불가 공지가 안내되기 시작해 의료대란을 염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필수의료 핵심인 전공의들의 집단 사직으로 ‘의료대란’ 우려가 높아지는 가운데 20일 오전 서울의 한 대학병원 안과 진료실 앞에 진료 지연 안내문이 붙어 있다.(사진=연합뉴스)
서울 종로구 서울대병원 응급실은 20일 오전 대기 환자 없이 평소처럼 운영됐다. 송파구 서울아산병원은 오후 1시 기준 입원대기 환자가 9명 있어 지난 19일 오후 8시 50분(10명)과 비슷한 상황을 유지했다. 서대문구 세브란스병원도 응급실 입실 대기환자 없이 병실 입실 대기환자만 8명 있어 하루 전 오후 9시(병실대기 환자 5명) 상황과 비슷했다.

하지만 오후부터 의료 공백 조짐이 하나둘씩 나타나고 있다. 보건복지부가 운영하는 ‘응급의료정보제공’ 애플리케이션에 따르면, 오후 1시 25분 서울아산병원은 ‘성인 응급실 성형외과 단순봉합 진료 불가능합니다’, ‘외과 트라우마 환자 ICU(집중치료실) 부족 수용 불가’라는 공지를 띄웠다. 동대문구 경희대병원은 ‘당직의 부재로 성형외과·비뇨의학과 진료가 불가하다’고 공지했고, 광진구 건국대병원도 ‘소아 전공의 부재로 일부 중증소아환자 수용이 곤란하다’고 안내했다.

전공의 파업이 시작되자 환자와 보호자들은 제때 치료를 못 받을까 봐 물안하다며 걱정을 토로했다. 강모(63)씨는 복부에 생긴 혹 때문에 이날 오전 4시 30분부터 경상남도 밀양시에서 서울대병원으로 검사를 받으러 왔다. 강씨는 “당장 오늘은 괜찮을 것 같은데 긴급한 환자들은 생명이 왔다갔다하니까 치료가 너무 절박할 것 같다”며 “의사들도 입장이 있겠지만 국민을 생각해서 한발 물러나면 좋겠다”고 했다. 국립중앙의료원에서 만난 박영학(67)씨는 “당사자도 힘들고 보호자들은 얼마나 마음을 졸이겠느냐”며 “군 병원이나 동네 병원이라도 열어줘야지 치료 못 받아서 힘든 일은 없애야 한다”고 힘주어 말했다.



지난 19일 오후 11시 기준 보건복지부가 주요 100개 수련병원을 점검한 결과 이들 병원의 소속 전공의 55%(6415명)가 사직서를 제출했다. 100개 병원에는 전체 전공의 1만3000명의 약 95%가 근무한다. 사직서 제출자의 25%가량인 1630명은 근무지를 이탈했다. 전공의는 교수의 수술과 진료를 보조하고, 입원 환자의 상태를 점검하는 등 다양한 업무를 맡고 있어서 파업이 길어질 경우 환자 치료에 차질이 빚어질 수 있다.

전문가들은 파업 장기화가 불가피하다며 정부와 의료계에 상호양보와 피해 최소화를 요구했다. 이형민 응급의학의사회 회장은 “오늘부터 의료공백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지금 상황에서는 중환자 위주로 응급실을 축소 운영해도 2주가 최대일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 회장은 “필수의료 발전은 정부와 의료계 모두 바라는 목표”라며 “(의대 증원 이전에) 필수의료 지원을 늘리고 법적 위험을 낮추는 방안을 정부가 다시 한번 고려해야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윤 서울대 의대 의료관리학과 교수는 “지난 20년간 파업 때문에 의대 증원이 무산됐다”며 “향후 10년간 의사 부족으로 발생할 피해를 생각하면 증원을 더 미룰 수 없다”고 강조했다. 김 교수는 “파업이 길어질 가능성은 100%”라며 “외래환자를 종합병원과 동네병원으로 돌리고 상급병원의 치료 역량을 중증·응급환자에게 집중하는 방식으로 의료대란을 막아야 한다”고 제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