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y양희동 기자
2013.03.12 16:58:08
[이데일리 양희동 기자]31조원의 사업비가 투입돼 단군 이래 최대 역사라고 불리던 용산국제업무지구 개발사업이 이자 59억원을 막지 못해 좌초 위기에 놓였다.
자산관리위탁회사(AMC)인 용산역세권개발㈜은 사업 채무불이행(디폴트) 막기 위한 자금 수혈 기일인 12일 자산담보부기업어음(ABCP) 이자 59억원을 은행 영업 마감시간인 오후 4시까지 갚지 못했다.
당초 최대주주인 한국철도공사(코레일)는 파산을 막기 위해 시행사인 드림허브 프로젝트금융투자회사(PFV)가 대한토지신탁으로부터 받아야 하는 손해배상청구소송 승소액 257억원 중 보유 지분(25%)에 해당하는 64억원에 대해 지급보증을 해주기로 했었다. 그러나 대한토지신탁이 승소액 257억원 전액에 대해 지급보증 등을 요구하면서 협상을 벌였으나 여전히 합의를 보지 못하고 있다. 이자를 갚지 못하면 용산개발은 채무불이행 상태에 빠져 파산 절차를 밟게 된다. 설령 자금이 유입된다 해도 오는 14일까지 총 63억원의 금융이자를 갚고 나면 잔액은 불과 10억원만 남는다. 이후 25일과 27일 갚아야 하는 금융비용은 각각 32억원과 122억원에 이른다. 획기적인 대책이 없는 한 사실상 분위기 반전이 불가능한 것이다. 지난 8일 청약 마감이었던 2500억원 규모의 전환사채(CB) 발행도 코레일과 민간출자사들이 참여하지 않아 무산되면서 추가 자금조달도 물 건너간 상황이다.
용산개발사업이 파산 수순을 밟게 되면 민간출자사들은 1조원을 허공에 날리게 된다. 코레일과 롯데관광개발 등도 존립 자체에 위협을 받게 돼 책임 소재를 가리는 소송전이 벌어질 가능성도 우려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