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MI 주주社 "자금조달 능력있다"..구체 방안은 제시안해

by함정선 기자
2010.09.15 15:18:45

디에스브리코이라 등 "자금계획 증빙서류 제출할 것"
구체적 조달 계획은 `노코멘트`

[이데일리 함정선 기자] 제 4 이동통신사업자 신청을 준비 중인 한국모바일인터넷(KMI) 컨소시엄 참여 주주사들이 `납입자본금 예치` 등을 통해 사업자금 조달 능력을 증명할 수 있다고 나섰다.

디브이에스코리아(046400), 스템싸이언스(066430), 자티전자(052650), 씨모텍(081090), C&S자산관리(032040), 한국모바일콘텐츠 컨소시엄 등 KMI에 주주로 참여하는 6개사는 15일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이같이 밝혔다.

6개사가 밝힌 계획은 자금조달 및 납입계획을 입증할 상세한 증빙서류를 방송통신위원회에 제출하고, KMI가 원한다면 사업허가가 나기 전이라도 납입자본금 전액을 정부나 KMI가 지정한 금융기관 계좌에 예치하겠다는 것이다.

KMI 설립자본금은 4600억원으로 디브이에스코리아, 자티전자, 씨모텍, C&S 자산관리가 각각800억원, 한국모바일콘텐츠 컨소시엄과 스템싸이언스가 각각 600억원을 출자하는 방식이다.

이들은 이 가운데 2820억원을 납입자본금으로 예치할 수 있다고 밝혔으며, 어떤 방식으로 조달할 것인지에 대해서는 "밝힐 수 없다"는 입장을 나타냈다. 자금 조달 방법과 시기 등에 대한 자료를 준비, KMI를 통해 방통위에 제출할 것이라는 계획만 알렸다.



이 가운데 인수합병(M&A) 대상으로 현금조달 능력이 부족하지 않느냐는 질문에 자티전자 김홍기 대표는 "현금전환할 수 있는 자산 250억원 외 나머지는 여러 방법으로 증자할 것"이라는 추상적인 답변을 내놓았다.

또한 이들은 이 금액을 사업 허가가 나기 전에 계좌에 넣을 수 있다는 의지를 밝힐 만큼 사업 참여에 대한 준비가 돼 있다고 강조했지만, KMI가 원할 경우라고 조건을 달았다.

한국모바일콘텐츠 컨소시엄 구성 추진을 맡고 있는 장세탁 대표는 "KMI가 원하지 않는다면 굳이 금액을 예치할 이유가 없지 않나"라고 말했다. KMI가 굳이 이를 원하지 않는다면, 납입자본금을 예치하는 것도 `말`뿐인 약속이 될 가능성이 큰 것이다.

게다가 MVNO 사업을 어떻게 전개할 것인지에 대한 계획에서도 미숙함이 드러나기도 했다.

회원기반을 확보할 계획에 대해서는 "데이터 서비스를 할 것임으로 문제없다"는 내용없는 공통 답변을 내놓았다. 씨모텍 윤태훈 상무는 "B2C 사업을 해보지 않아서 답은 없지만 지금 생각으로는 잘하는 쪽과 전략적 제휴를 하면 될듯 하다"는 즉흥적인 답을 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