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월 고용성적표 최악…김동연 "경제팀 무거운 책임감"

by김형욱 기자
2018.06.15 11:19:20

통계청 5월 고용동향 발표 직후 대책회의
통계청 5월 취업자 수 증가 7만명대 급락
김동연 "매우 충격적 결과…대책 서두를것"

김동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15일 서울 광화문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고용 관련 긴급 경제현안 간담회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기재부 제공


[세종=이데일리 김형욱 최훈길 기자 김정현 기자] 고용상황이 5월 들어 더 나빠졌다. 올 초 수치로 드러난 고용동향은 2008년 국제금융위기 때와 비슷한 흐름마저 보인다. 최악 고용성적표를 받아든 경제팀도 충격을 받았다며 서둘러 대책 마련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통계청이 15일 발표한 5월 고용동향을 보면 5월 취업자 수는 2706만4000명으로 1년 전보다 7만2000명 늘어나는 데 그쳤다. 취업자 수 증가 폭은 현 고용상황을 보여주는 가장 주요한 지표로 꼽힌다.

취업자 수 전년대비 증가가 10만명에 못 미친 건 2008년 국제 금융위기가 가시지 않은 2010년 1월(1만명 감소) 이후 처음이다. 특히 2~4월 3개월 연속 10만명대에 그치다가 5월 10만명 선이 무너진 건 금융위기 초기 모습과도 닮았다. 통상 취업자 수는 매년 1넌 젼보다 30만명대, 많게는 90만명까지 늘어 왔으나 2008년 9월 이후 3개월 연속 10만명대 이후 4개월째 10만명 선이 무너졌고 5개월차부터 마이너스로 주저앉았다.

취업자 수 전년비 증감 추이. (수치=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출처=국가통계포털)
2008년 금융위기 당시 취업자 수 전년비 증감 추이. (수치=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출처=국가통계포털)


건설업을 중심으로 임시·일용직 취업자 수가 줄어든 게 결정적이었다. 임금근로자(2018만7000명) 중 상용근로자(1374만1000명)는 32만명 늘었으나 임시근로자(498만4000명)와 일용근로자(146만3000명)는 각각 11만3000명, 12만6000명 줄었다. 여기에 자영업에 종사하는 비임금근로자(687만6000명)도 1만명 줄었다.

빈현준 통계청 사회통계국 고용통계과장은 “5월 고용동향은 4월과 비슷한 상황이었으나 건설업을 중심으로 일용직 감소가 컸던 게 차이를 벌렸다”고 설명했다. 안 그래도 주택 준공물량이 축소하는 등 업황이 안 좋은 가운데 5월 호우가 이어지며 건설업 임시·일용직 근무 기회가 줄었다는 게 정부 측 설명이다.



실업률도 역대 최고 수준이었다. 통계상 실업률이란 취업을 희망하는 사람 중 취업하지 못하는 비율을 뜻한다. 그만큼 고용 환경이 나쁘다는 뜻이다.

5월 실업률은 4.0%로 지난해 5월(3.6%)보다 0.4%p 올랐다. 2000년 5월(4.1%) 이후 18년 만에 최고치였다. 청년(15~29세) 실업률도 10.5%로 1.3%p 오르며 관련 통계 집계를 시작한 1999년 6월 이후 5월 기준 최고치를 찍었다. 청년 체감 청년실업률을 보여주는 청년층 고용보조지표3(확장실업률)도 23.2%도 1년 전보다 0.3%p 올랐다. 역시 관련 집계를 시작한 2015년 이후 5월 기준 가장 높다.



김동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5월 고용동향 발표 직후 서울 세종대로 정부서울청사에서 고용관련 긴급경제현안 간담회를 열고 관련 대책을 논의했다. 특히 “정부가 그간 일자리 창출 위해 많은 노력 기울였지만 크게 나아지지 않았다”며 자성했다.

김 부총리는 “경제팀 모두가 무거운 책임 느낀다“며 ”정부가 그간 일자리 창출 위한 마중물 역할 위해 나름 노력해왔지만 기업과 시장에 대한 펌핑(pumping)이 부족해서 일자리 창출이 미흡한 점도 없지 않아 있다”고 인정했다.

김 부총리는 아울러 “일자리 정책과 대책을 이야기하면서 기저효과, 계절적 요인 같은 기술적 얘기를 하는데 일반 국민이 보기에 이해하기 어려울 것”이라며 “그런 게 아니라 고용상황에 대한 심각성을 정부가 인정하고 국민들이 우려하는 바에 대해 정부가 공감하는 모습을 보여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그는 앞으로의 계획에 대해 “시장과 국민이 느끼는 불안과 우려에 공감하면서 바탕 하에서 할 수 있는 모든 대책을 낼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업종·계층별 맞춤형 일자리 지원 강화 △어려움 겪는 계층에 중점을 둔 일자리 창출을 위한 추경 원활한 집행과 내수 활력 제고 노력 △시장과 기업에 대한 펌핑을 대책으로 꼽았다. 김 부총리는 “시장에서 일자리 창출이 될 수 있도록 혁신성장, 규제혁신, 재정·세제 지원, 노동시장 구조개선에 총력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2000~2018년 5월 실업률 추이. (수치=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출처=국가통계포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