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희망봉을 찾아 기업가정신 발휘할 때"

by정태선 기자
2014.03.10 15:02:07

對아프리카 공적개발원조·민간투자, "시급하다"

무역협회 제공.
[이데일리 정태선 기자] 차세대 유망시장으로 떠오르고 있는 아프리카에 공적개발원조 및 민간투자 확대를 적극적으로 고려해야 한다는 제안이 나왔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은 10일 아프리카 시장 전망과 주요국의 아프리카 투자 및 공적개발원조를 우리나라와 비교한 ‘희망봉을 찾아 기업가정신을 발휘할 때다’ 보고서를 발간했다.

차세대 성장엔진으로 부상하고 있는 아프리카는 올 이후에도 약 5%에 가까운 견조한 성장세를 지속할 전망이다. 또 앞으로 10년간 중국보다 빠른 속도로 성장할 상위 10개국 중 6개국이 아프리카 국가다. 원유 및 광물 등 천연자원이 풍부할 뿐 아니라 생산과 소비를 주도할 젊은 세대의 인구 비중이 매우 높다. 2010년 기준 0~24세의 인구 비중은 61.0%로 선진국(29.3%)에 비해 두 배 이상이다.

이에 중국과 미국·일본은 일찌감치 아프리카에 대한 공적개발원조와 민간투자 증대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국가 수반의 아프리카 방문을 비롯해 대규모 무상 원조 및 차관에 대한 논의가 이어지고 있고 아프리카 유학생 유치 등 인적교류에도 큰 관심을 보이고 있다.



반대로 우리나라는 1948년 건국 이래 정상의 방문은 겨우 세 차례에 그쳤을 정도로 통상협력이 미흡한 편이다. 우리 기업의 아프리카 시장 진출 시 마중물이 될 수 있는 정부차원의 공적개발원조는 2003~2012년간 9억 8000만 달러로 중국(750억 달러) 및 미국(586억 달러) 등에 비해 턱없이 부족하며 전체 ODA 중 20% 정도에 불과하다. 민간투자 역시 45억4000만 달러로 다른 국가들에 비해 미미한 수준이며, 전체 해외직접투자 중 1.3%에 불과하다.

지구상의 마지막 블루오션이 될 아프리카 시장의 성장성을 감안할 때 편견이나 막연한 두려움을 버리고 적극적으로 진출을 서둘러야 한다는 지적이다. 초기 진출에 따른 위험부담을 줄이기 위해서는 아프리카 현지기업이나 성공적으로 진출한 외국기업의 인수합병(M&A)도 방안이 될 수 있다고 보고서는 제안했다.

국제무역연구원은 “정부 역시 아프리카에 대한 ODA 규모를 무한정 늘릴 수 없으나 대륙별 비중을 재검토하고 아프리카 각국과 이중과세방지협정의 조속한 체결 등을 통해 다른 진출국과의 경쟁에서 불리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