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y김관용 기자
2017.09.27 11:00:00
2~3시간 주기로 10여분만 정찰
北 미사일 발사 징후 실시간 탐지 불가능
자동판독기술 없어 판독관이 직접 판독
핵심기술 식별 기간, 상세설계 종료까지로 설정
[이데일리 김관용 기자] 북한 핵·미사일 위협 대응의 일환으로 우리 군이 추진하고 있는 정찰위성 연구개발 사업이 부실로 인해 함량 미달의 ‘깡통 위성’을 발사할 위기에 처했다는 비판이 제기됐다.
국회 국방위원회 소속 김종대 정의당 의원은 27일 국방부와 합동참모본부, 방위사업청, 국방과학연구소(ADD) 등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검토한 결과 군 당국이 결정한 현재의 감시 주기로는 북한의 이동식 미사일 발사대(TEL) 등을 실시간 감시할 수 없는 수준이다. 2~3 시간 주기로 10여 분만 정찰이 가능해 실시간 감시가 어렵다는 얘기다.
이른바 ‘425’라고 불리는 군 정찰위성 연구개발 사업은 1조2500여억 원의 예산으로 2022년부터 2024년까지 총 5기의 위성을 발사한다는 것이다.
김 의원에 따르면 합참이 결정한 425 위성은 표적을 자동으로 판독해주는 ATR 및 ATI 등의 영상판독기술이 국내에 존재하지 않는다는 이유로 판독관이 직접 판독하는 아날로그 방식을 적용하고 있다. ATR(Autonomous Target Recognition)은 위성으로 촬영한 영상을 기존에 수집한 데이터베이스(DB)를 활용해 프로그램으로 판독하는 기술이다. ATI(Along-Track Interferometry)는 ATR의 업그레이드 버전으로 이동하는 표적을 추적하며 속도 계산까지 가능하다.
425 위성에는 이같은 기술이 적용되지 않아 감시 주기도 제한적인데 판독에도 시간이 걸려 빠른 대처가 어렵다는 지적이다. 정찰위성을 통해 북한 도발 위협을 사전에 감지하고 식별해 제압하다는 ‘킬체인’(Kill-Chain) 작전 성공률이 낮아질 수밖에 없다는 얘기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