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은행 연체율 시중은행의 2배 넘어…경기민감업종 더 힘들어

by장영은 기자
2024.09.26 11:00:00

[9월 금융안정 상황]
지방은행 대출 성장률은 축소되고 연체율은 높아져
건설·숙박 등 연체율 높고 지방은행서 속도 빨라

[이데일리 장영은 기자] 지방 은행의 자산 성장세가 약화된 가운데 연체율이 상승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경기 민감 업종을 중심으로 연체율이 빠르게 올랐다.

한국은행 전경. (사진= 이데일리 DB)


한국은행은 26일 금융통화위원회 정기회의를 열고 최근 금융안정 상황을 점검하면서 지방 은행의 연체율 상황을 검토한 결과 올해 6월 말 기준 지방은행의 대출자산 성장률이 전년동기대비 5.3%로 2017년 6월 말 8.0%에 비해 2.7%포인트 축소된 반면, 같은 기간 4대 시중은행은 4%에서 8.6%로 4.6%포인트 확대됐다며 이같이 밝혔다.

지방 은행의 자산 성장세는 약화된 반면 연체울은 올랐다. 지방은행 연체율은 올해 6월 말 0.67%로 4대 시중은행(0.29%)보다 2배 이상 높았다.

차주 별로 봤을 때는 개인사업자의 연체율은 상승했으나 대기업과 중소법인의 연체율은 하락했다. 또 지방 은행의 가계 신용대출 연체율은 1.63%로 주택담보대출(0.24%)에 비해 크게 높았고, 4대 시중은행(0.26%)에 비해서도 1.37%포인트 높아 취약차주 중심으로 대출자산 건전성이 저하되고 있다고 한은은 지적했다.



업종별로 보면 경기민감 업종 중심으로 연체율이 빠르게 상승하고 있다. 지방은행의 중소기업대출 연체율이 0.75%인 가운데, 건설업(1.36%)의 연체율이 가장 높았고 숙박음식업(1.04%), 도소매업(0.85%) 및 부동산업(0.66%) 등도 최근 상승했다. 이들 업종의 연체율 상승은 4대 시중은행에서 비슷하게 나타났지만 그 속도는 지방은행이 대체로 더 빠른 편이다.

(자료= 한국은행)


한은은 “이같은 연체율 상승 등의 영향으로 지방은행의 손실흡수여력이 낮아지고 있다”고 평가했다. 지방은행의 국제결제은행(BIS) 기준 자본비율은 15.9%로 큰 변화가 없으나, 부실자산에 대한 대응능력을 나타내는 대손충당금 적립비율(대손충당금/고정이하여신)은 157.3%로 2022년 6월 말(198.3%)에 비해 낮아진 상황이다.

특히 일부 지방은행 적립비율의 경우 고정이하여신 규모가 커지면서 장기간 감독기준(100%)에 근접하는 모습을 보이는 등 손실흡수능력 개선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다만, 지방은행의 연체 채권 대비 매·상각률이 올해 상반기 중 65.9%로 상대적으로 높아 자산건전성 개선을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는 점은 긍정적이라는 것이 한은의 평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