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구직자, '고용디딤돌' 통해 취업시 최대 300만원 지원
by방성훈 기자
2015.09.22 14:00:43
中企 사회맞춤형 학과, 창조센터 활용해 2개→17곳 확대
사회맞춤형 학과 교육생 1인당 한학기 37만원→74만원
고용디딤돌 참여시 월 20만원..취업시 180만~300만원 지원
[세종=이데일리 방성훈 기자] 삼성전자(005930)는 지난 해 성균관대학교 IT융합학과 석사과정 및 반도체시스템공학과 학부 운영비의 절반 이상을 현금이나 연구·실습기자재 등과 같은 현물로 지급했다. 삼성물산(028260)과 삼성테크윈(현 한화테크윈(012450))도 지난 해 성균관대 3개 학과에 같은 방식으로 지원했다.
현장에 걸맞는 인재를 확보하기 위해 기업과 대학이 힘을 합쳐 맞춤형 교육을 실시, 졸업 후에 관련 분야에서 일을 할 수 있도록 취업까지 연계시켜주는 이른바 ‘사회맞춤형 학과(계약학과)’다. 사회맞춤형 학과는 2014년 기준으로 전국 25개 대학에 45개가 있으며, 이를 통해 교육을 받고 있는 학생은 총 1330명이다.
정부가 청년고용 확대를 위해 이같은 사회맞춤형 학과에 대한 기준을 완화하고 재정적인 지원도 대폭 늘리기로 했다고 22일 밝혔다.
| 사회맞춤형 학과 지원을 통한 청년 고용 확대 사례 <자료=기획재정부> |
|
우선, 기업이 사회맞춤형 학과를 운영할 때 기존엔 중소기업과 이공계 분야만 정부 지원을 받을 수 있었으나, 내년부터는 중견기업과 비(非) 이공계 분야도 지원을 받을 수 있게 된다.
또 중소기업이 지원하는 사회맞춤형 학과의 경우 교육생 1명 당 한 학기에 평균 37만원씩 지급됐던 지원금을 내년부터는 74만원으로 2배 늘리기로 했다.
정부는 현재 2곳에 불과한 중소기업 사회맞춤형(채용조건형 계약학과)를 내년엔 17곳으로 늘리기로 했다. 17개 창조경제혁신센터와 연계해 인근 대학에 지역 전략산업 분야와 관련된 학과를 신설하는 방식이다.
아울러 기업이 사회맞춤형 학과 운영비를 연구·실습기자재 등 현물로 지급하는 경우 인정비율을 기존 20% 이내에서 30% 이내 수준으로 상향 조정해 현금 부담을 줄여주기로 했다.
이외에도 기업이 소유한 건물뿐 아니라 임대건물에서도 교육을 할 수 있도록 하고, 기업-대학 간 권역이 다른 경우에도 계약학과 설치를 허용하는 등 사회맞춤형 학과 기준을 대폭 완화하기로 했다.
정부 관계자는 “채용조건형 계약학과 외에도 주문식 교육과정, 장기현장실습 및 일학습병행제 등 다양한 형태로 운영될 예정이며 LG(003550), 삼성, 현대, GS(078930), 롯데 등에서는 기존 과정을 확대하거나 신설하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 고용디딤돌 프로그램 도입을 통한 청년 고용 확대 사례 <자료=기획재정부> |
|
정부는 이날 ‘고용디딤돌 프로그램’에 대한 지원 확대 방안도 함께 발표했다. 고용디딤돌 프로그램은 기업이 협력업체, 지역기업 등과 청년 구직자를 대상으로 직업훈련·인턴 등을 실시한 뒤, 협력업체 취업으로 연계시켜주는 제도다. 현재까지 이 제도를 도입하겠다고 밝힌 곳은 LG, SK(034730), 한국전력(015760), 삼성, 현대, 롯데 등이다.
정부는 내년부터는 고용디딤돌 프로그램의 모든 과정을 패키지로 지원할 수 있는 지원 사업을 신설하기로 했다. 또 기능·기술 직종에 한정됐던 훈련분야를 마케팅 등 전 분야로 확대하는 한편, 대기업 자체시설로 국한됐던 시설 기준도 폴리텍 등 다른 시설·장비까지 허용키로 하는 등 지원 요건을 완화하기로 했다.
특히 고용디딤돌 프로젝트를 운영하는 기업에는 직업훈련 비용 및 인턴지원금(월 50만~60만원)과 취업지원금(취업시 390만원)을 제공하고, 프로그램에 참여한 청년 구직자에게는 훈련수당(월 20만원) 및 취업지원금(180만~300만원)을 지급하기로 했다.
정부는 이외에도 창조경제혁신센터 내에 ‘고용존’을 설치해 청년 구직자와 인력 수요 간 매칭을 지원하는 등 창조경제혁신센터를 청년일자리 지원사업의 허브로 발전시킨다는 복안이다.
정부 관계자는 “이번 고용디딤돌 프로그램 및 사회맞춤형 학과 지원 방안을 통해 현장 중심의 교육·훈련이 확산돼 청년 일자리 기회를 확대하고 인력수급 불균형도 해소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