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인에 발전소 신설하나…반도체 클러스터 초기 발전력 확보방안 논의

by김형욱 기자
2023.07.07 17:10:34

장기적으론 호남 신·재생 전력 끌어오지만,
비용·시간 탓 초기 전력수요 증가 못 맞춰
민·관 간담회서 초기 전력공급 방안 모색
이창양 “세부검토 거쳐 조기 로드맵 발표”

[이데일리 김형욱 기자] 정부가 업계와 함께 경기도 용인 시스템반도체 클러스터 조성 초기에 필요한 발전력 확보 방안 마련에 나섰다. 삼성전자는 2029년까지 이곳에 400메가와트(㎿)의 전력이 필요할 것으로 보고 있다.

이창양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오른쪽)이 7일 서울 더플라자호텔에서 열린 (경기도 용인시 시스템)반도체 클러스터 전력공급 방안 논의 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산업부)
산업통상자원부는 7일 서울 더플라자호텔에서 이창양 산업부 장관 주재로 반도체 클러스터 전력공급 방안을 논의하기 위한 간담회를 열었다고 밝혔다. 간담회에는 이번 투자를 주도할 남석우 삼성전자 사장과 김동섭 SK하이닉스 사장, 전력 공급을 맡을 김태욱 한국전력공사 부사장을 비롯해 이상일 용인시장 등 관계자가 참석했다.

정부는 올 3월 용인시 남사읍 710만㎡ 부지에 300조원 이상을 투입해 2042년까지 세계 최대 규모 시스템반도체 클러스터를 조성한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삼성전자가 첨단 제조공장 5개를 짓고, 150여 국내외 소재·부품·장비 기업과 팹리스, 연구소가 시스템반도체 밸류체인을 조성해 기존 기흥·화성·평택의 메모리반도체 단지와 함께 반도체 메가 클러스터를 구축한다는 구상이다.

이 계획을 성사하려면 전력·물(산업용수) 공급을 비롯한 인프라의 대대적 확충이 필수다. 삼성전자는 이 계획대로면 2030년 말까지 400㎿, 2042년이면 7기가와트(GW) 이상의 신규 전력 공급이 필요한 상황이다. 산업용수도 2030년 하루 30만t에서 2042년 하루 65만t 이상을 확보해야 할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산업부 역시 모든 투자가 끝나는 2050년께 이곳에 10GW 이상의 전력이 필요할 것으로 보고 있다. 작년 말 기준 수도권 최대전력수요 39.9GW의 4분의 1에 이르는 규모다. 주민 수용성 문제 등으로 수도권 내 발전능력 확충이 제한된 가운데, 27년에 걸쳐 이 지역 전력 공급능력을 25% 늘려야 하는 과제를 안게 된 것이다. 산업부는 올 3월 반도체 클러스터 전력공급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하고 이곳 전력공급 방안을 모색해 왔다.



대규모 시스템 반도체 국가산업단지로 지정된 경기 용인시 처인구 남사읍 일대. (사진=뉴스1)
정부는 중장기적으론 서해안~수도권을 잇는 초고압 직류 송전선로(HVDC) 건설을 통해 호남 지역에 넘쳐나는 원자력 및 신·재생에너지 발전 전력을 이곳에 끌어오는 방안을 추진한다. 그러나 이를 위해선 막대한 자본을 투입해야 하고 시간도 필요한 만큼 당장 수년 내 시작될 개발 초기 발전력을 확보할 순 없다. 다른 지역에서 대규모 전력을 끌어오는 동시에 당장의 전력 수요 증가분을 메울 발전력이 필요하다.

산업부는 이날 회의에서 개발 초기에 필요한 발전력을 확보하는 걸 최우선 과제로 삼고 지역 내 발전력(전력공급 능력)을 확충키로 했다. 즉 2030년까지 약 400㎿에 이르는 초기 전력수요 추가 공급 방안을 마련하겠다는 것이다. 이날 구체적 방안은 공개되지 않았지만, 지역 내 발전소 1기를 신설하는 등의 방법이 예상된다. 400㎿면 통상 석탄·가스화력발전소 1기로 충당할 수 있는 양이다. 대규모 태양광·풍력발전단지를 조성하거나 전력 수요관리를 통해 확보하는 방법도 있으나 이 역시 시간·비용적 제약이 뒤따른다.

이창양 산업부 장관은 “안정적 전력 공급은 반도체 클러스터 조성 사업 성공의 핵심 요소”라며 “세부적인 검토를 거쳐 조기에 이를 위한 계획(로드맵)을 발표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