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초고압 송전선로 밀집도…서울보다 141배

by김상윤 기자
2017.10.18 10:38:27

원전 밀집해 서울·수도권 송전 때문
“지중화율 높이고, 분산형 에너지 필요”

[세종=이데일리 김상윤 기자] 원자력발전소가 밀집한 부산의 초고압 송전선로 밀집도가 서울보다 141배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에 새로 건설되는 송전선로의 85%는 초고압 송전선로로 구성돼 지중화(땅 속 매설) 작업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이용득 더불어 민주당 의원이 환경부로부터 제출받은 ‘국내 발전소 주변 주민건강영향조사 방안 마련 연구’를 분석한 결과 단위면적당 초고압전선로 길이는 부산이 202m로 가장 길었으며, 울산이 139m로 다음을 차지했다. 서울(45m)와 비교하면 부산은 4.5배, 울산은 3.1배가 더 많은 초고압전선로가 설치된 셈이다.

서울의 초고압송전선로가 100% 지중화된 점을 감안해 지중화 선로를 제외하고 비교하면 부산은 141배, 울산은 139배 이상의 초고압송전선로가 더 밀집된 것으로 나타났다.

초고압 송전선로는 경남 밀양과 경북 청송, 충남 당진 등지에서 주변 땅값 하락과 주민 건강 우려 등으로 인해 해당 지역에서는 혐오시설로 꼽히며 지역 갈등을 불어 일으켜 왔다. 한국전력공사의 ‘가공 송전선로 전자계 노출량 조사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345kV 초고압 송전선로 40m 이내에 거주하면 연중 상시 3mG(밀리가우스)의 전자파에 노출되는 수준이다. 3mG에 노출된 어린이는 백혈병 발병률이 3.8배까지 높아진다.



부산과 울산에 밀집된 것은 전력수급 구조 때문이다. 부산은 서울보다 2.3배, 울산은 1.5배나 적은 전력을 소비하고 있지만, 전력은 각각 41배, 12배나 많이 생산하고 있다. 부산과 울산에 원전이 밀집하다보니 원전에서 발생한 전기를 서울 수도권 지역으로 배송하는 과정에서 초고압송전선로를 대거 깔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그는 “원전과 같은 대규모 발전원이 늘어난다는 건 원거리 초고압 송전선로가 늘어나는 것을 의미한다”면서 “원전 주변 지역 주민들은 발전소와 송전선으로 인한 이중 위험부담을 져야 한다”고 했다.

그러면서 “단기적으로는 지역별 전기요금 차등제와 초고압 송전선로의 지중화율을 높이고, 장기적으로는 분산형 에너지로 전환해나가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