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뉴딜, 58조원 투자해 일자리 90만개 창출
by이후섭 기자
2020.07.15 11:20:00
데이터경제 활성화하고, 5G·AI 융합 프로젝트 추진
전국 초중고 와이파이 100% 구축…스마트의료 인프라 구축
세종·부산 등 스마트시티 시범도시 구축…스마트 물류단지도 확충
[이데일리 이후섭 기자] `한국형 뉴딜`의 한 축을 담당하는 디지털 뉴딜 정책이 윤곽을 드러냈다. 정부는 2025년까지 58조2000억원을 투자해 90만3000개의 일자리를 창출하고 디지털 대전환을 선도하겠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데이터 댐, 지능형 정부, 스마트 의료 인프라, 국민안전 기반시설(SOC) 디지털화, 디지털 트윈 등의 사업을 추진한다.
정부는 디지털 뉴딜로 올해 추경부터 2022년까지 총 23조4000억원(국비 18조6000억원), 2025년까지는 58조2000억원(국비 44조8000억원)을 투자해 2022년까지 39만개, 2025년까지 90만3000개의 일자리를 창출하고 디지털 대전환을 선도할 방침이다. 디지털 전환은 데이터, 네트워크, 인공지능(D.N.A) 등 디지털 신기술을 바탕으로 산업의 혁신을 견인하고 국가경쟁력을 결정짓는 핵심요소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디지털 뉴딜은 △D.N.A(데이터, 네트워크, AI) 생태계 강화 △교육인프라 디지털 전환 △비대면 산업 육성 △SOC 디지털화 등 4대 분야 12개 추진과제로 구성됐다. D.N.A 생태계 강화는 크게 데이터경제 활성화와 5G·AI 융합 확산을 기본으로 한다. 2025년까지 38조5000억원이 투입될 예정이다.
데이터 수집·개방·활용에서부터 데이터 유통 및 인공지능(AI) 활용에 이르기까지 데이터 전주기 생태계를 강화하고 민·관 합동 데이터 컨트롤 타워 마련을 통해 데이터 경제 전환 가속화를 추진한다. 1·2·3차 전산업의 디지털 전환 및 신시장 창출 촉진을 위해 산업현장에 5세대(5G) 이동통신·AI 기술을 접목하는 융합 프로젝트를 진행한다.
또 개인맞춤형 공공서비스를 신속처리 하는 지능형 정부로 혁신하고 5G 이동통신 업무망·클라우드 기반 공공 스마트 업무환경을 구현할 계획이다. 중소기업의 보안역량 강화를 위해 맞춤형 보안컨설팅 등을 지원하고, 비대면 서비스용 소프트웨어의 보안취약점을 진단하고 보안기술을 지원하는 등 K-사이버 방역체계를 구축한다.
디지털 기반 교육 인프라 조성을 위해 2022년까지 전국 초중고 전체교실에 고성능 와이파이를 100% 구축할 계획이며, 교원 노후 PC·노트북 20만대 교체 및 온라인 교과서 선도학교 1200개교에 교육용 태블릿PC 24만대를 지원할 방침이다. 온라인 강의 인프라·콘텐츠 확충 및 플랫폼 고도화 등을 통해 양질의 온라인 대학교육·평생교육·직업훈련 시스템도 완비해 나간다.
비대면 산업 육성을 위해서는 스마트 의료 및 돌봄 인프라를 구축하고, 중소기업 원격근무를 확산한다. 중소·벤처 기업이 밀집한 전국 주요거점에 공동 활용할 수 있는 화상회의실을 구축할 계획이며, 기존 원격근무에 첨단 디지털 신기술을 접목해 일하는 공간 및 방식을 혁신하는 `디지털 워크` 기술개발도 지원한다. 또 스마트 기술을 소상공인 사업장에 적용한 스마트상점 10만개, 스마트 공방 1만개도 구축한다.
도로·철도·항만 등 핵심기반시설의 디지털화 및 효율적 재난 예방·대응시스템 마련에도 나선다. CCTV를 통합·연계한 지자체 CCTV 통합플랫폼을 구축하는 한편, 인공지능·디지털 트윈 등 신기술을 활용해 세종, 부산 등에 스마트시티 국가시범도시 구축을 지원할 계획이다. 신속한 물류서비스 제공을 위해 수도권·교통 중심지에 스마트 물류단지·센터를 확충하고 수출입 물류 효율화를 위해 블록체인, 빅데이터 등을 활용한 항만 물류 인프라의 디지털화를 추진한다.
정부는 올해 추경사업 등을 속도감 있게 집행해 나갈 계획이며, 민·관의 선순환 생태계를 조성하는데 유념하겠다고 밝혔다. 정부투자가 마중물이 돼 민간 기업의 투자가 촉진되고 새로운 기업과 산업의 등장으로 이어져 지속가능한 대규모 일자리가 창출되는 선순환 구조를 만들겠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 관련된 기업, 협회 등 현장의 목소리를 지속적으로 청취하고 소통하겠다는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