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ㆍ토양 등에서 다이옥신 등 잔류성유기오염물질 23종 감소세

by김경은 기자
2021.06.30 12:00:00

2008년부터 11년간 잔류성유기오염물질 측정 결과 공개
알드린 등 농약류 11종은 극미량 또는 불검출로 나타나
다이옥신(퓨란) 등 산업공정 부산물질 매년 감소 추세

[이데일리 김경은 기자] 농약 등에서 발생해 신체에 축적되는 잔류성유기오염물질 23종의 농도가 지난 11년간 대체로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다.

환경부는 30일 2008년부터 11년간 우리나라의 잔류성유기오염물질(Persistent Organic Pollutants·POPs) 23종의 농도가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잔류성유기오염물질은 농약 살포, 산업생산 공정 등에서 주로 발생하며, 자연상태에서 쉽게 분해되지 않고 생물조직에 축적되며 면역체계 교란, 중추신경계 손상 등을 일으키는 물질이다.

대기, 수질, 토양, 퇴적물 등 전국 총 171개 지점의 매체에서 잔류성유기오염물질의 농도를 측정한 결과, 대기 등 모든 매체에서 잔류성유기오염물질의 농도가 매년 감소 추세를 보였다.

알드린, 디엘드린, 엔드린, 톡사펜 등 농약류 중 13종은 대기, 토양, 수질, 퇴적물에서 매년 감소추세를 보이거나 극미량 또는 불검출로 나타났다. 이들 농약류는 수질과 토양, 퇴적물에서 2008~2016년까지 대부분의 지점에서 불검출 또는 미량 수준으로 농도가 나타났고, 대기에서 미량의 농도로 꾸준히 검출되고 있다. 디엘드린은 증감을 반복하다가 2013년도 1.284 pg/Sm3 → 2018년도 0.228 pg/Sm3로 약 6분의 1의 수준으로 감소했다.

국제사회에서 사용이 금지된지 50년이 지난 살충제인 디디티(DDT)는 2015년도부터 2018년까지 토양 중 검출농도 범위는 중국, 미국 등과 비교할 때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는 2015~2018년 0.678~2.098 ng/g로, 미국(53.7), 캐나다(1~18) 등과 비교해 낮은 수준이다.



산업공정에서 부산물로 발생하는 다이옥신(퓨란)도 대기, 수질, 토양, 퇴적물 내에서 매년 감소추세를 보였다. 특히 대기 중 다이옥신 농도는 2008년 대비 2018년 79% 감소했다. 2018년 다이옥신 검출농도는 대기 환경기준인 0.6 pg I-TEQ/S㎥ 보다 100배 낮은 농도로, 이는 일본과 홍콩에서 조사된 농도 수준과 비슷하고 중국보다 낮았다.

다만, 변압기, 전자부품 제조에 사용되는 폴리클로리네이티드비페닐(dl-PCBs)은 모든 매체에서 농도가 증감을 반복하는 수준으로 검출됐고, 플라스틱, 자동차, 항공기, 선박 등에 첨가하는 브롬화난연제는 매년 비슷한 수준으로 검출됐다.

과불화화합물인 과불화옥탄술폰산(PFOS)과 과불화옥탄산(PFOA)의 농도 추이는 대기와 퇴적물에서 미량 또는 불검출 미만으로 검출되었고, 수질과 토양에서는 매년 비슷한 농도가 검출됐다.

박용규 환경부 환경보건정책국장은 “앞으로 잔류성유기오염물질의 농도 측정을 대기 등 기존 환경매체뿐만 아니라 동식물, 인체까지 확대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내달 1일부터 환경부 누리집을 통해 잔류성유기오염물질 환경 모니터링 백서가 공개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