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상반기 중 전력저장장치 확충전략 세운다

by김형욱 기자
2023.01.30 10:56:56

산업부, 에너지 스토리지 산업정책 TF 출범
“2036년까지 26GW 구축…45조원 투자 필요”

[이데일리 김형욱 기자] 정부가 올 상반기 중 국내 전력저장(에너지 스토리지) 규모를 대폭 늘리기 위한 전략을 수립한다. 석탄·가스화력발전에서 원자력·신재생에너지 발전으로의 대대적 전환을 위해선 에너지 스토리지가 필수인 만큼 정부 차원에서 관련 사업 지원에 나서기로 한 것이다.

한국전력공사가 경북 경산에서 운영 중인 에너지저장장치(ESS) 시설. (사진=한국전력)
산업통상자원부는 30일 서울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에서 이호현 산업부 전력정책관 주재로 에너지스토리지 산업정책 태스크포스(TF)를 출범 회의를 열었다고 밝혔다. 올 상반기 에너지 스토리지 산업 발전전략 을 수립 예정인 가운데 관련 기관·전문가의 의견을 수렴하기 위한 것이다. 이진호 LS일렉트릭 이사와 김희집 서울대 교수, 주성관 서울대 교수, 우상균 한전 전력연구원 실장, 윤재영 전기연구원 본부장 등 산·학·연 전문가가 함께 했다.

에너지 스토리지는 통상 ESS로 불리는 배터리나 물의 고저차를 이용한 양수발전소를 지어 남는 전력을 저장해뒀다가 필요할 때 쓰는 설비다.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이기 위한 에너지 전환 과정에선 필수 요소다. 현재 국내 발전량의 약 60%를 맡은 석탄·가스화력발전기는 전력 수요에 따라 공급량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지만, 정부가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이기 위해 이를 원자력발전(원전)과 신·재생에너지 발전으로 대체하려 하고 있어 그만큼의 에너지 스토리지 확충이 필요한 상황이다. 전력 수요는 하루 중에도 크게 달라지지만 원전과 태양광, 풍력 등 신·재생 발전은 생산량을 실시간 조절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특히 신·재생 발전은 시간대와 날씨에 따라 생산량도 달라 저장 기능 없인 수요-공급 균형에 차질을 빚을 수 있다.



정부는 지난해 말 2036년까지의 계획을 담은 제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전기본)을 통해 석탄·가스화력발전 비중을 2018년 68.7%(석탄 41.9%·가스 26.8%)에서 2036년 23.7%(석탄 14.4%·가스 9.3%)까지 줄이고, 같은 기간 원전(23.4%→34.6%)과 신·재생 발전(6.2%→30.6%) 비중을 29.6%에서 65.2%까지 늘리기로 했다. 산업부는 또 10차 전기본을 통해 이 같은 에너지 전환을 이행하려면 2036년까지 26기가와트(GW) 규모의 에너지 스토리지가 필요하고, 이를 짓기 위해 45조4000억원의 투자가 필요하다고 추산했다.

산업부는 에너지 스토리지 확충을 재생에너지 변동성 대응뿐 아니라 발전소 건설이나 송전선 같은 전력망 설치비 절감이나 해외 시장 진출 같은 경제적 효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전략을 짠다는 계획이다. 국제 시장조사업체 블룸버그 뉴 에너지 파이낸스는 지난해 1월 세계 에너지 스토리지 시장이 2021년 110억달러에서 2030년 2620억달러(약 322조원)로 24배 남짓 커질 것으로 전망했다.

이호현 산업부 전력정책관은 “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이 높은 제주도·호남 지역의 전력계통 불안정성을 보완하고 좌초 자산화하는 석탄발전소의 재활용에 대응하려면 장주기·대용량 에너지 스토리지 도입은 필수”라며 “정부는 에너지 스토리지 산업 발전 전략을 토대로 국내 산업 생태계를 조성하고 해외시장 진출 발판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