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조선단지, 시너지효과 높지만 ''산넘어 산''

by노컷뉴스 기자
2007.10.04 20:15:37

[노컷뉴스 제공] 노무현 대통령과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4일 조선협력단지를 조성하기로 합의한 것은 수요를 따를 수 없을 정도로 호황인 국내 조선경기와 자본과 기술 유치를 바라는 북측의 요구가 맞아 떨어진 결과로 보인다.

현재 국내 조선업계는 현대중공업과 삼성중공업, 대우조선해양 등 국내 6개 업체가 수주잔량 기준으로 세계 조선업계 1∼6위를 차지할 정도로 호황을 누리고 있다.

이에 따라 삼성중공업과 대우조선해양, STX 등은 상대적으로 인건비가 싼 중국에 공장을 짓는 등 지속적인 투자를 해왔으나 최근 인건비 상승과 기술 유출 우려 등 때문에 국내 조선업계는 북한을 일찌감치 주목해왔다.

여기에 덧붙여 북한이 상대적으로 저렴하면서도 우수한 노동력을 보유하고 있다는 점과 수심이 깊은 동해안과 부동항 등 남한과 비슷한 유리한 입지 조건을 갖추고 있다는 점, 외국과는 달리 언어 문제가 없는 상황 등이 강점으로 부각됐다.

이에 대해 북한 역시 지난 5월 남상태 대우조선해양 사장 등 남한 경제인들이 방북했을 때 남포에 있는 영남 배수리 공장을 공개하고 시설·장비 제공과 기능인력 교육 등을 요청하는 등 조선업에 대한 관심을 나타냈다.



따라서 남북한이 조선소를 함께 하게 되면 일반적인 시너지 효과는 분명히 있다는 것이 업계의 공통적인 평가이다.

하지만 이같은 합의가 현실화 되기 위해서는 갈 길이 멀다는 지적이다.

업계 관계자는 "현재 북한에는 이렇다 할 설비가 없다"며 "먼저 공장부터 지어야 하고 그러려면 부지, 전력, 용수 확보 문제가 앞서 해결돼야 한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이어 "경공업과는 달리 많은 인력과 물자, 자본이 필요하고 업종의 특성상 외국인의 자유로운 왕래도 보장돼야 한다"며 "지금 당장 사업을 시작하더라도 실제 생산은 2∼3년 뒤에나 가능할 것"이라고 밝혔다.

업계의 또 다른 관계자는 "조선소를 함께 하려면 전략 물자 문제도 해결해야 하고 남북한 사이의 화물 운송도 자유로워야 한다"며 "합의가 어떻게 구현될 지는 좀 더 지켜봐야 한다"고 전망했다.

실제로 조선분야는 대북 전략물자통제협정에 묶여있기 때문에 현재 상황으로는 전략물자에 해당되지 않는 중급 이하 화물선의 블록공장의 건설이나 기존 설비 보수 등만 가능한 실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