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준은 왜 시장 예상 깬 급격한 '긴축의 칼' 꺼냈나

by김정남 기자
2022.01.06 13:29:57

연준, 예상 깬 조기 양적긴축 추진
①통제 불가 수준의 물가 폭등
②점차 회복 조짐 보이는 고용
일각서 "시장 혼란·경기 침체 촉발"

[뉴욕=이데일리 김정남 특파원] 미국 연방준비제도(Fed)가 급격한 ‘매의 발톱’을 들었다. 이르면 올해 3월 기준금리 인상론이 부상하는 와중에 양적긴축(QT)까지 함께 추진할 것임을 시사했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때보다 훨씬 빠른 속도로 돈줄을 조이겠다는 것이다.

(그래픽=이미나 기자)


5일(현지시간) 나온 지난해 12월 연준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 의사록을 보면 다수 FOMC 위원들은 “첫 기준금리 인상 이후 어느 시점에 대차대조표 축소를 시작하는 게 적절하다”며 “코로나19 팬데믹 초기 시작한 초완화 정책들(ultra-easy policies)은 더이상 정당화되지 않는다”고 말했다.

연준은 팬데믹 사태 이후 월 1200억달러의 채권을 사들이는 양적완화(QE)를 실시해 왔다. 이로 인해 연준 보유자산은 8조 7570억달러(약 1경 491조원·지난해 말 기준)까지 불어난 상태다. 팬데믹 직전인 2020년 2월 말 4조 1590억달러와 비교해 두 배 이상 커졌다. 역대 최대다.

연준은 현재 월 1200억달러의 QE 규모를 차츰 줄이는 테이퍼링을 실시하고 있다. 이는 오는 3월께 마무리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런데 채권 매입을 중단하더라도 만기가 도래하는 채권을 다시 투자한다면 9조달러 가까운 대차대조표는 큰 변동이 없다. 긴축 효과가 미미할 수 있는 것이다. 반대로 연준이 채권 재투자에 나서지 않는다면 보유자산은 축소되고, 연준이 시중에 직접 푼 유동성은 줄어든다. 이는 QE와 대비한 용어로 QT, 다시 말해 대차대조표 축소라고 불린다.

최근 월가에서는 3월 기준금리 인상론이 유력하게 떠오르고 있다. FOMC 위원들이 첫 인상 시점을 QT의 기준으로 삼는다는 점이 확인되면서, 이르면 몇 달 내에 대차대조표 축소가 이뤄질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CNBC는 “여름 전에 실시할 수 있음을 시사한 것”이라고 했다. 시장은 오는 2024년 즈음 QT를 개시할 것으로 봤는데 이보다 훨씬 앞당겨질 수 있는 셈이다. 이는 곧 기준금리 인상과 대차대조표 축소를 올해 동시에 진행한다는 의지다.

QT 속도 역시 빨라질 전망이다. FOMC 위원들은 “2017년 당시 (통화정책) 정상화보다 빠른 게 적절하다”고 말했다. 연준은 2008년 금융위기 이후 QE 카드를 꺼냈고, 이에 따른 QT는 2017년 말 시작했다. 매우 점진적으로 했다는 뜻이다. 연준은 2017년 10월부터 분기마다 100억달러씩 QT를 진행했고, 차츰 그 규모를 확대했다. 이에 따라 2017년 말 4조 4490억달러였던 대차대조표는 2019년 9월께 3조 8450억달러까지 줄었다.



크리스토퍼 월러 연준 이사는 최근 “대차대조표 조정 시기를 늦출 이유가 없다”며 “국내총생산(GDP)의 20%로 줄이는 걸 목표로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8조달러대에서 4조~5조달러대로 자산 보유를 축소해야 한다는 의견이다.

(그래픽=이미나 기자)


그렇다면 연준이 이처럼 매의 발톱을 든 이유는 무엇일까. 첫 손에 꼽히는 게 물가 폭등이다. 연준의 양대 책무는 물가 안정과 고용 안정인데, 이 가운데 물가가 통제 불가한 수준으로 치솟고 있다는 것이다. FOMC 참석자들은 “예상보다 인플레이션이 높고 지속적이라는 점이 작용한 것”이라고 말했다.

노동부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률은 전년 동월 대비 6.8%를 기록했다. 39년5개월 만의 최고치다. 월가 한 인사는 “물가 폭등세가 정책적으로 용인이 가능한 수준을 벗어났다”며 “긴축을 추가 지연하면 걷잡을 수 없는 상황에 이를 것”이라고 지적했다. 물가 폭등은 심지어 조 바이든 대통령의 지지율을 취임 후 최저로 떨어뜨릴 정도로 사회적 문제로 떠오르고 있다.

고용 역시 가파른 긴축을 지지하고 있다. 다수 참석자들은 “고용시장이 완전 고용에 근접(close to full employment)했다”고 평가했다.

이날 나온 ADP 전미고용보고서를 보면 지난해 12월 민간 부문 고용은 80만7000명 증가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집계한 시장 전망치(37만5000명)를 두 배 이상 상회했다. 지난해 5월(88만2000명) 이후 7개월 만에 가장 높았다. 아울러 신규 실업수당 청구 건수는 지난해 11월 말부터 팬데믹 이전 수준인 주 20만건 안팎으로 내려와 있다. 고용 시장이 점차 회복 조짐을 보이고 있다는 해석이 가능하다.

다만 일각에서는 이같은 긴축이 쉽지 않다는 의견도 적지 않다. 사상 최고 수준인 뉴욕 증시 3대 지수를 비롯해 채권, 부동산, 원자재 등의 가격이 급등해 왔는데, 이를 급격히 되돌릴 수 있다는 우려다. 월가 한 금융사 펀드매니저는 “QT를 앞당기면 금융시장 변동성이 커지는 건 불가피하다”며 “경기 침체 우려까지 나올 수 있다”고 진단했다.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의장. (사진=AFP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