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질자원연구硏, 해저탐사 '탐해3호' 건조 추진
by박진환 기자
2016.06.01 12:36:19
탐해2호 이은 두번째 해저물리탐사선..1985억 투입
[대전=이데일리 박진환 기자] 한국지질자원연구원(KIGAM)은 석유탐사선 ‘탐해2호’의 뒤를 이을 신규 3D·4D 물리탐사연구선인 ‘(가칭)탐해3호’ 건조를 추진한다고 1일 밝혔다.
신규 3D·4D 물리탐사연구선 건조 사업은 지난 4월 기획재정부의 2016년도 상반기 예비타당성조사 대상사업으로 선정됐으며, 6개월간의 조사를 거쳐 사업타당성이 인정되면 2018년부터 본격적인 건조사업이 진행된다.
탐해3호는 지구물리탐사를 위한 장비를 탑재하고, 해저지층구조 및 자원부존 유망지층과 부존 특성 등을 파악하는 해저물리탐사 임무를 수행하게 된다.
현재 지질자원연이 운영 중인 ‘탐해2호’(2080t급)는 국내 최초·유일의 물리탐사연구선으로 1996년 건조돼 국내외 대륙붕 석유탐사 및 가스하이드레이트 부존 확인 등 자원확보를 위한 다양한 역할을 해왔다.
특히 과거 일부 기술선진국이 독점하던 2D·3D 석유가스탐사기술의 자립화를 달성했다.또 해저지질도 작성과 지질재해위험요소 조사, 대륙붕 해양 영토 조사 등 우리나라 국제위상 확립과 안정적인 발전을 위한 기본임무도 수행하고 있다.
그러나 건조된 지 20년이 된 탐해2호이 노후화되면서 최근에는 국제 수준에 비해 성능과 효율이 낮아져 국책과제 수행에 차질을 빚을 우려가 높아졌다.
이에 따라 국내 대륙붕 자원부존 유망구조 확보와 이산화탄소 지중저장, 북극권 자원조사 등 미래수요에 대비하기 위한 3D 탐사역량 고도화 필요성이 꾸준히 제기됐다.
새로운 물리탐사연구선인 탐해3호는 국내 대륙붕 석유가스자원에 대한 3D 정밀탐사와 함께 동남아시아, 러시아, 극지, 심해, 북한해역 등 전 세계 모든 해역에서 석유가스·광물자원 탐사를 수행할 수 있다.
퇴적분지 심부구조 연구와 이산화탄소 해저지중저장(CCS, Carbon Capture & Storage) 저장소 탐사 및 4D 모니터링 등 지구에 대한 이해와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탐사·연구활동도 수행하게 된다.
5000t급으로 건조될 계획인 탐해3호에는 3D 탐사능력의 핵심인 6㎞ 길이의 스트리머(탄성파를 수신하는 장비) 8조가 장착될 예정이다.
이와 함께 해저면 탄성파 탐사 기능과 내빙 기능 및 동적위치제어(Dynamic Positioning System, 해상에서 선박의 위치를 정확하게 자동으로 유지하거나 미리 설정한 항로를 자동으로 항해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 기능도 탑재될 계획이다.
탐해3호 건조는 총 1985억원이 드는 대규모 사업으로 향후 지질·지구물리탐사 신기술 개발과 자원탐사 전문 인력 양성 및 활용, 국내외 석유가스·광물자원 확보를 통한 국가 경제 기여 등 기대효과가 예상된다.
김규한 한국지질자원연구원장은 “이번 물리탐사연구선 건조사업 추진을 통해 대륙붕, 대양 및 극지 주변까지 전 세계 모든 해역에서 우리나라의 주도로 석유가스자원 탐사와 해저지질 및 지구물리 탐사가 수행될 것”이라며 “국가정책사업의 효율적 추진과 국가 과학기술 역량 제고를 위해 건조사업을 성공적으로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 3D/4D 물리탐사연구선인 ‘(가칭)탐해3호’ CG.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제공 |
|
| 3D/4D 물리탐사연구선인 ‘(가칭)탐해3호’ CG.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제공 |
|
| 3D/4D 물리탐사연구선인 ‘(가칭)탐해3호’ CG.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제공 |
|
| 3D/4D 물리탐사연구선인 ‘(가칭)탐해3호’ CG.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제공 |
|
| 3D/4D 물리탐사연구선인 ‘(가칭)탐해3호’ CG.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제공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