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y박철근 기자
2017.08.24 11:00:00
'13년 착공 이후 4년만 결실…470억 투입
내달 1일 개장…14만㎡에 공연·전시장 등 들어서
설계·시공부터 운영까지 시민주도로 추진하는 ‘협치형’ 공원운영 적용
신재생에너지 냉·난방 및 생활하수·빗물 활용 등 친환경 공원으로 자리매김
[이데일리 박철근 기자] 지난 1976년 비상상황을 대비해 건립한 마포 석유비축기지가 복합문화시설로 탈바꿈해 41년만에 시민의 품으로 돌아온다.
서울시는 24일 “1급 보안시설로 41년간 일반인의 접근이 통제됐던 마포 석유비축기지가 연중 축제와 공연·전시 및 시민시장이 열리는 문화비축기지로 변신해 내달 1일 개장한다”고 밝혔다.
마포 석유비축기지는 지난 1973년 중동전쟁으로 촉발된 1차 석유파동으로 국내 경기가 위기를 맞자 유사시 안정적인 석유 공급을 위해 시가 국고보조금으로 1976~1978년 건설했다. 1급 보안시설로 지정해 일반인의 접근을 철저히 통제해온 이곳은 ‘2002 한일 월드컵’ 개최를 위해 상암 월드컵경기장을 건설하면서 위험시설로 분류, 2000년 11월 폐쇄했다. 이후 일부 부지만 임시주차장으로 사용하면서 10년 넘게 사실상 버려지고 방치됐다.
지난 2013년 1월 시작해 이달 말 공사를 마무리하는 문화비축기지는 축구장 22개와 맞먹는 규모(면적 14만 22㎡)의 부지에 공연·장터·피크닉같은 다양한 활동이 가능한 열린 공간(3만 5212㎡)이 들어선다. 그 주변으로 6개(T1~T6)의 탱크(10만 4810㎡)각 각종 문화 시설로 둘러싼다. 사업비는 470억원을 투자했다.
시는 “산업화시대 유산인 탱크들은 물론 내외장재, 옹벽 등 하나부터 열까지 기존 자원들을 재생하고 재활용하는 도시재생 방식을 적용했다”고 설명했다.
가솔린, 디젤, 벙커씨유 같은 유류를 보존하던 기존 탱크들은 최대한 외부 원형을 살려 복합문화공간, 이야기관 같은 복합문화시설로 재생됐다. 뉴욕 애플스토어 같은 유리돔(T1), 기존 탱크의 철재를 모두 제거해 만든 공연장(T2), 탱크 상부 구멍을 통해 쏟아져 들어오는 햇빛이 마치 숲속에 온 듯한 기분을 느끼게 하는 공간(T4)까지, 문화비축기지만의 독특한 공간 특성을 활용한 구조물도 주목할 만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