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G 인사이트]"기후위기, 리스크이자 기회…전사적으로 대응해야"

by김경은 기자
2021.04.14 11:41:02

<제2회 이데일리-법무법인 지평 ‘ESG 인사이트’>
고순현 에코앤파트너스 상무
"최근 5년 최대 리스크, '경제적 요인→기후위기'"

[이데일리 김경은 기자] “다보스포럼에서 실행한 14년간의 추적조사에서 최근 5년 사이 기업들의 가장 최대 리스크 요인이 환율 금리 등 경제적 요소에서 기후행동 실패에 따른 자연재해를 지목하고 있다. 기업은 사업장 중심의 환경관리 체계를 전환해 제품, 공급망, 비즈니스 전략수립, 정보공개 등 전사적 과정에 기후변화 리스크와 미래 기회요인을 고려해야 한다. ”

고순현 에코앤파트너스 상무는 14일 오전 서울 중구 통일로 KG타워에서 열린 ‘이데일리-지평 제2회 ESG 인사이트-ESG 핵심특강 환경편’에서 ‘기업 환경리스크 관리 변화와 과제’를 주제로 발표를 하고 이같이 강조했다.

▲고순현 에코앤파트너스 상무가 14일 오전 서울 중구 통일로 KG타워에서 열린 ‘이데일리-지평, 제2회 ESG 인사이트-ESG 핵심특강 환경편’에서 ‘기업 환경리스크관리 변화와 과제’란 주제로 발표를 하고 있다. (사진=방인권 기자)
고 상무는 “전세계적으로 ESG 열풍에 가깝다. 기업들은 이같은 변화가 어떤 리스크 요인이 될지 인식하는 것에서 나아가 조직의 프로세스 수립과 행동변화로 어떻게 실현해 나갈지가 중요해졌다”고 말했다.

단순히 환경 규제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인 흐름이 기업의 기후위기 대응을 압박하고 있다는 진단이다. 특히 올해 가동되는 신(新)기후체제는 국내 기업 제품 경쟁력에 직접적 영향을 줄 것으로 전망했다. 고 상무는 “다자간 협약인 파리협정은 전세계 60개국이 참여해 온실가스 저감에 대한 지향점을 갖고 있고, 배출권거래제나 탄소세 등 이산화탄소 배출량에 따라 비용을 부담케하는 ‘카본 프라이싱 이니셔티브(Carbon Rricing Initiative)가 가동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기후변화는 기업의 현재 및 미래 재무상태를 결정하는 요소로 대두되고 있다는 말이다. 그는 “자본시장에서도 이같은 ESG 기반 투자의사결정의 필요성이 커지면서 기후변화는 투자시장의 불확실성 요인으로 와닿고 있다”며 “기업들도 리스크관리뿐 아니라 미래 비즈니스 기회와 관련한 고민이 더욱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기업의 기후위기 대응에 대한 정보공개가 강화될 것으로 전망했다. G20 산하 국제기구인 금융안정화위원회(FSB)는 기업과 금융기관의 기후변화 리스크에 관한 정보공시 촉진 및 이를 위한 재정건전성 강화를 목적으로 2015년 기후관련 금융정보공시 테스크포스(TCFD)를 설립, TCFD에는 전세계적으로 4월 현재 700개 이상 정부, 금융기관, 기업, NGO가 참여하고 있다. 국내 기업 가운데서는 신한금융그룹, KB금융그룹, LG화학, POSCO 등 30개사가 가입돼 있다.

기업들이 취해야 할 전략으로 고 상무는 사업장 중심으로 폐기물을 처리하고 규제에 대응하는 환경관리에서 벗어나 제품 전과정에서 환경리스크 관리가 필요하다고 소개했다.

기업들은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전사적 거버넌스를 확립하는 것이 요구된다는 것이다. 그는 “전략적 의사결정을 위해 최고경영자, 이사회, 사외이사 등의 역할을 중심으로 환경위원회의 역할을 강화하는 것은 물론, 기후환경 전략부서를 신설해 리스크관리, 전략 및 목표 고도화, 실행 성과 관리 등을 해 나가야한다”고 강조했다.

△기후·환경 전사적 거버넌스 확립/출처:에코앤파트너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