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생태계, 5대 보전축 중심 더 체계적으로 관리된다

by한광범 기자
2020.08.03 11:00:00

해수부, ''그린뉴딜 과제'' 해양생태축 구축 방안 공개
구체적 범위·목표 설정 및 축별 관리계획 마련 방침

해양수산부가 해양생태계의 체계적 관리·보전을 위해 설정한 ‘5대 핵심 해양생태축’. 해양수산부 제공.
[세종=이데일리 한광범 기자] 해양생태계의 보다 체계적이고 통합적인 관리를 위해 해양수산부가 3일 ‘해양생태축 구축방안’을 발표했다. 해양생태계 구축은 그린뉴딜의 해양생태계 녹색복원 과제이다.

앞서 지난해 7월 ‘해양생태축 설정·관리 로드맵(2019~2023)’을 발표한 해수부는 해양생태축 설정·관리를 위한 세부 지침으로서 ‘해양생태축 구축방안’을 마련했다.

해양생태축은 생태적 구조와 기능이 연계돼 있는 해양생물 주요 서식지·산란지, 이동경로와 갯벌, 연안, 도서, 수중 등의 해양생태계를 훼손하거나 단절하지 않고 연결시키는 구조다.

그동안 해양생태계 관련 정책은 개별 서식지나 생물종 보호를 중심으로 추진됐다. 하지만 해양생태계의 전반적 구조와 기능, 연결성 등을 종합적으로 파악하고, 해양생태계를 체계적·통합적 관리·보전에 한계가 있었다.

이번 해양생태축 구축방안은 해양생물 다양성 유지, 주요 해양생물 이동경로 및 서식처 보전, 기후변화 대응 강화, 해양생태계의 체계적·통합적 관리·보전을 목표로 한다.

우선 해양생태축의 기본 설정범위를 영해로 정하고, 과학적 조사·분석 결과와 해양생태적 요소와 가치, 인간 활동의 영향과 기후변화 등을 고려한 ‘5대 핵심 해양생태축’을 설정해 통합관리를 추진한다.



5대 핵심 해양생태축에는 △서해 ‘서해안 연안습지 보전축’, ‘물범-상괭이 보전축’ △남해 ‘도서해양생태 보전축’ △동해 ‘동해안 해양생태 보전축’ △남·동해 ‘기후변화 관찰축’이 각각 설정된다.

해수부는 5대 핵심 해양생태축의 체계적 관리를 위해 연말까지 구체적인 범위, 관리 목표 등을 설정하고, 2021년까지 해양생태축 특성과 공간범위를 고려한 축별 관리계획을 수립할 계획이다.

또 해양생태계 보전·관리의 토대가 되는 국가 해양생태계 종합조사체계를 개편한다. 2022년도부터 해양생태축의 생물다양성 및 건강성, 해양생태계의 구조와 기능의 연결성 등을 평가할 수 있는 지표를 개발해 축별 해양생태계의 현황과 변화를 지속적으로 관찰하고 평가할 계획이다. 훼손되거나 단절된 해양생태계에 대해서는 복원계획을 마련해 시행한다.

해수부는 이와 함께 해양생태축 설정·관리의 실행력 확보를 위해 연말까지 ‘해양생태계 보전 및 관리에 관한 법률’을 개정해 해양생태축의 정의를 명확히 하고, 해양생태축 설정·관리계획 수립 근거와 이행 주체, 절차 등을 규정할 계획이다.

송명달 해수부 해양환경정책관은 “최근 해양개발, 기후변화 등으로 생물종 감소와 생태계 파괴가 가속화되고 있어, 전 세계가 생물다양성 보전 필요성에 대해 공감대를 형성하고 이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며 “해양생태축 구축은 우리나라가 해양생물 다양성 유지, 주요 해양생물 서식처 보전·관리를 위한 조사와 연구, 정책을 선도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기대감을 드러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