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수'끝 우리은행 민영화 성공...30%지분 매각(상보)

by노희준 기자
2016.11.13 17:28:34

[이데일리 노희준 기자] 정부가 ‘5수’ 끝에 우리은행 민영화에 성공했다. 우리은행 지분 29.7%를 한화생명, 한국투자증권 등 7개 금융기관에 매각하게 되면서 정부 지분은 21.4%로 줄게 됐다.

우리은행 차기행장은 이들 새로운 주주들이 선임한 이사진 중심으로 선출된다.

우리은행 민영화는 우리은행이 2001년 4월 우리금융지주회사 출범으로 정부 소유 은행이 된지 16년 만이다. 경영권 지분을 통째로 단일 후보에게 파는 방식을 포기하고 4~8%지분을 쪼개파는 방식을 선택한 것이 적중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정부는 이번 지분 매각으로 2조3616억원 가량의 공적자금을 추가 회수, 전체 회수율은 83.4%에 달하게 됐다. 하지만 그동안 매각 지연에 따른 각종 경영상의 비효율과 비용은 고스란히 국민 몫으로 남게 됐다. 완전한 민영화를 위해서는 나머지 21.4% 지분 매각에도 조속히 나서야 한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금융위원회는 13일 우리은행 지분 매각 입찰 경쟁에서 한국투자증권, 키움증권, 한화생명, 동양생명(중국 안방보험), 미래에셋자산운용, 유진자산운용, IMM PE(프라이빗에쿼티) 7개사가 낙찰자로 선정됐다고 밝혔다. 이 가운데 미래에셋자산운용(3.7%), IMM PE(6%)를 제외하고는 모두 4%씩 낙찰을 받았다. 이들이 낙찰 받은 지분은 모두 29.7%다.

지난 11일 우리은행 지분 매각 본입찰에는 이들을 포함, KTB자산운용 등 8곳이 참여했는데, KTB자산운용은 최종 선정 과정에서 탈락했다. 윤창현 공적자금관리위원장은 “1개 투자자는 공자위의 비가격요소 평가 결과 탈락 요건에 해당했다”며 “구체적인 탈락 이유는 비밀유지 요청 사항으로 밝힐 수 없다”고 말했다. 정부는 본입찰에 참여자 이들 가운데 입찰가격 순으로 결정하되, 과점주주 매각의 특수성을 감안해 비가격요소도 일부 반영해 최종 낙찰자를 선정하겠다고 설명해왔다.

이들 낙찰자들이 28일 매각계약을 체결하고 대금을 납부하면 우리은행 민영화 작업은 마무리된다. 이에 따라 정부 소유 지분은 21.4%로 줄어들어 우리은행은 16년간 추진해온 민영화의 꿈을 이루게 된다.



민영화의 가장 큰 성공은 4~8%씩 지분을 쪼개파는 시장친화적 매각 방식을 도입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지난 4차례 매각에서는 모두 경영권 지분(30%)을 한 곳에 통째로 팔려고 했지만, 마땅한 투자자를 찾지 못해(유효경쟁 불성립) 번번히 매각에 실패했다. 정부는 그간 공적자금 회수 극대화를 위해 경영권 프리미엄(웃돈)에 집착해 이 같은 통매각 방식을 고수해왔다. 특히 지분 4%를 낙찰받으면 임기 2년의 사외이사 추천권을 주고 6% 이상 낙찰받으면 추천 사외이사 임기를 3년까지 우대하기로 한 유인책이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는 분석도 있다. 여기에 임종룡 금융위원장이 이번 지분 매각 이후 예보 보유 지분 21.4%을 통해 경영에 간섭하지 않을 것이라는 점을 재차 밝히는 등 관치우려를 불식시킨 점도 한 몫했다는 평가다.

임종룡 금융위원장은 이날 “예보 잔여지분 21.4%는 공적자금 회수를 위한 보유분으로서 예보는 공적자금 관리를 위한 필요최소한의 역할만 할 것”이라며 “우리은행의 경영은 정부나 예보의 관여 없이 새로운 주주가 된 과점주주들 중심으로 민간 주도의 자율적이고, 상업적이며, 투명한 경영을 해 나가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번 지분 29.7%매각으로 정부는 2조3616억원의 공적자금을 회수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번 우리은행 지분 매각 주식수가 총 2억 68만5000주인 것을 감안하면, 1주당 낙찰가는 1만1768억원인 셈이다. 이는 지난 11일 주가 1만2750원 대비 7.7% 낮은 셈이다. 우리은행에 투입된 12조7663억원 중 기존 지분 매각과 배당금 등을 통해 회수한 8조2869억원까지 감안하면, 모두 10조6485억원을 회수해 회수율은 83.4%에 이르게 된다.

민영화된 우리은행은 향후 과점주주 체제로 변신하게 된다. 지배구조는 이번 낙찰자 가운데 사외이사를 추천하겠다고 밝힌 동양생명, 키움증권, 한국투자증권, 한화생명, IMM PE 등 새로운 주주들이 추천하는 사외이사 중심으로 운영된다. 이들이 추천하는 사외이사들은 12월30일 주주총에서 선임된다. 정부는 신규 투자지분 4%당 사외이사 1명의 추천권을 부여했다. 과점 주주 가운데 사외이사를 추천하지 않은 기관은 사외이사를 추천하지 않을 경우 락업(매각 제한 기간)기간이 6개월로 비교적 빨리 끝나기 때문에 차익 실현을 기대하고 들어온 재무적 투자자(FI)라는 분석이다.

우리은행의 차기 행장은 새 이사진 중심으로 선출된다. 다음달 30일 임기가 끝나는 이광구 우리은행장 후임은 새로 구축된 이사진이 주축이 된 행장후보추천위원회가 주도할 예정이다. 행추위에서 새로운 행장이 선임될 때까지 이광구 행장의 임기는 자동 연장된다. 정부는 지분 매각 종결 즉시 예보와 우리은행간 ‘경영족쇄’로 작용해온 경영정상화이행약정(MOU)도 해지할 예정이다.

전문가들은 우리은행의 완전한 민영화를 위해선 나머지 지분 21.4% 도 빠른 시일내에 매각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윤석헌 서울대 경영대 객원교수는 “우리은행의 민영화를 완결하려면 나머지 예보지분 21.4%에 대한 매각 계획을 명확하게 발표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번 정부에서는 21.4% 예보 잔여 지분을 통해 ‘정부 입김’을 불어넣지 않겠다고 했지만, 정권이 바뀌면 상황은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다는 얘기다. 하지만 정부는 이날 구체적인 21.4% 지분 계획(타임테이블)은 아직 없다고 밝혔다. 공적자금 회수 측면에서 민영화에 따른 주가 상승 가능성을 충분히 고려해 공적자금관리위원회 논의를 거쳐 이른 시일 내에 추가 매각을 결정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