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조업 종사자 16개월 만에 증가세…숙박·음식점업도 고용 회복세 지속

by최정훈 기자
2021.06.29 12:00:00

고용부, 5월 사업체 노동력 조사 결과
제조업 종사자 수 지난해 2월 이후 15개월 만에 증가세 전환
전체 종사자 수도 석 달째 회복세…숙박·음식점업도 회복 조짐

[이데일리 최정훈 기자] 백신접종 등으로 경기가 회복세를 보이면서 지난달 사업체 종사자 수가 석 달 연속으로 증가세를 유지했다. 특히 전 산업 종사자 수가 가장 많은 제조업 종사자가 16개월 만에 증가세로 전환했다. 기저효과를 감안해도 고용 회복세가 완연하다는 게 정부의 설명이다.

지난 15일 오전 서울 강남구 세텍(SETEC)에서 개막한 2021 고졸 성공 취업 대박람회를 찾은 학생들이 각종 기업들의 채용 정보를 상담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29일 고용노동부의 ‘5월 사업체 노동력 조사’ 결과에 따르면 5월 마지막 영업일 기준 1인 이상 사업체 종사자는 1865만 9000명으로 전년 동월(1830만 9000명 )대비 35만명이 늘었다. 전년 동월 기준으로 비교하는 사업체 종사자 수는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지난해 3월 역대 처음으로 감소한 뒤 1년간 감소세를 유지하다가 지난 3월부터 증가세를 다시 유지하고 있다.

고용부는 이번 증가세 유지가 코로나19가 확산하던 지난해 5월의 기저효과와 함께 사회적 거리두기 완화 조치가 유지된 영향이 미친 것으로 분석한다. 지난 2월 수도권은 2.5단계에서 2단계로, 비수도권은 2단계에서 1.5단계로 거리두기 단계가 완화된 뒤 유지되고 있다.

특히 양질의 일자리인 사용직 근로자는 전년 동월 대비 12만명이 증가해 지난달에 이어 두 달 연속으로 증가세를 유지하고 있다. 임시일용근로자도 21만 3000명 늘었고, 학습지 교사 등이 포함된 기타종사자도 1만 8000명 증가했다.

산업별로 가장 눈에 띄는 부분은 제조업이다. 전 산업 종사자 수의 비중이 가장 큰 제조업이 지난달 1만 1000명 증가했기 때문이다. 제조업은 지난해 2월부터 종사자 수가 감소폭으로 돌아선 뒤 16개월 만에 증가세로 전환했다.

특히 지난해 5월부터 지난 2월까지 7만명 수준의 큰 감소폭을 유지하기도 했다. 그러나 △2월 -6만 8000명 △3월 -4만 6000명 △4월 -7000명 등으로 감소폭이 축소됐다. 제조업 중 식료품 제조업(1만명)이 종사자 수가 가장 많이 늘었고 전자부품, 컴퓨터, 영상·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9000명), 화학 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4000명) 등 순이었다.



상반기에 집중된 정부의 공공일자리 사업도 종사자 수에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백신 접종 지원 등 공공일자리가 포진한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 11만 4000명으로 가장 크게 늘었고,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행정 분야서도 4만 7000명이 증가했다.

코로나19로 인해 고용충격이 컸던 업종도 회복 조짐을 보인다. 숙박 및 음식점업은 3만 7000명 수준의 감소폭을 보였는데, 지난 1월에 감소폭이 24만명까지 확대된 이후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지난해 고용충격의 기저효과에도 고용시장 회복세 경향이 완연하다는 게 고용부의 설명이다. 지난달 입직자는 90만 4000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3만 3000명이 늘었고, 채용으로 입직한 경우가 84만 2000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12.7% 증가, 채용 중 상용직은 32만 7000명으로 24.6%가 증가했다.

한편 지난 4월 기준으로 집계된 임금과 근로시간에서도 고용 충격 완화 영향이 확인됐다. 상용근로자 임금총액은 366만 5000원으로 전년 동월 대비 4.2% 증가했다. 코로나19 등의 영향으로 임금상승률이 둔화된 전년의 기저효과와 도매 및 소매업, 금융 및 보험업 등에서 특별급여 증가 등의 영향이라고 고용부는 설명했다.

반면 임시일용직의 경우 임금총액이 172만 2000원으로 전년 동월 대비 2.6% 증가하는데 그쳤다. 전년 동월의 증가율(11.0%) 대비 크게 줄어든 수치다. 고용부는 “전년 동월에는 상대적으로 임금 수준이 낮은 산업의 임시일용근로자가 감소해 임금 상승률이 크게 확대됐다”며 “당월에는 건설업 임금상승률 둔화, 임금수준이 낮은 산업의 임시일용근로자 증가, 최저임금 상승률 둔화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임금상승률이 전년 동월 대비 축소했다”고 설명했다.

자료=고용노동부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