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플랜트 시장, 한·중·일 '삼국대전' 예고

by정태선 기자
2013.05.07 16:30:13

일본 종합 밑그림 마련..대대적 투자 나서
투자 방식에서 벗어나 기술·단지 육성 강화

한국수산해양개발원 제공.
[이데일리 정태선 기자] 한국이 주도하고 있는 해양플랜트 시장에 중국과 일본이 본격 나서면서 한·중·일 삼국 대전을 예고하고 있다.

7일 업계에 따르면 일본 정부는 2020년까지 2조5000엔(23조6000억원)의 해양개발 관련시장을 새로 창출하겠다는 목표를 세우고 해양자원개발 프로젝트 진출이나 기술개발등을 위해 29억엔(320억원)을 투입키로 했다.

일본 정부는 이를 위해 지난달 미쓰비시중공업의 나가사키 조선소와 중견조선소가 밀집한 나가사키현을 ‘해양·환경산업 거점 특구’로 지정, 예산지원과 세제 혜택을 집중키로 했다.

세계 석유·가스업체들은 생산량의 30% 가량을 바다에서 캐내면서 해양 생산을 지속 늘려나가고 있다. 해양시장 연구조사기관인 클락슨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의 해양플랜트 공사량은 39%에 달한다. 이어 중국과 싱가포르가 각각 14%, 브라질이 9%를 차지했다. 반면 일본의 시장 점유율은 1%에 정도에 머물러 있다.

해양플랜트산업은 크게 세 단계로 구분할 수 있다. 윗단은 광구운영사로 영국BP, 네덜란드 셀, 브라질 페트로브라스와 같은 에너지기업과 일본판 석유메이저인 국제석유개발데이세키(INPEX), 미쓰이상사 등 투자자들이다. 중간에는 시추, FEED(개념설계+기본설계), EPCI(구매조달, 설계, 조달까지 일괄 수주)·EPCM(설계·자재구매·시공 일괄 관리), 수송 등을 담당하는 업체가 있다. 밑단은 조선업체와 기자재업체 등이 주축을 이루는데 조선업체로는 한국의 현대중공업(009540), 삼성중공업, 대우조선해양 등이 세계시장을 주름잡고 있다.



해양개발 사업은 맨 윗단의 광구개발회사와 종합 엔지니어링 회사가 기술을 주도한다. 이에 비해 일본은 종합 엔지니어링 기업 중 모덱이 FPSO(해상부유식 원유생산 저장하역설비) 부문에서 유일하게 성공했을 뿐이다. 일본 기업이 기획·투자하더라도 실제 공사는 한국, 싱가포르, 중국에 위탁하고 있다. 일본은 상대적으로 한국, 중국 등에 밀려 이대로 가면 전 세계 해양개발 분야에서 뒤쳐져 일본 기술로 배타적 경제수역 (EEZ)의 개발 등에 나설 수 없다는 위기감을 갖고 있다.
한국수산해양개발원 제공.
세계 해양플랜트 시장은 지난해 67조원에서 2020년 120조원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한국은 지난해 5월 해양플랜트 수주액을 2020년까지 800억 달러, 기자재 국산화율을 50%, 엔지니어링 국내 수행 비율을 60%까지로 늘리는 해양플랜트산업 발전전략을 일본보다 앞서 발표한 바 있다. 특히 지난해 상반기 핵심 기자재와 요소기술을 중심으로 100대 전략품목으로 선정했으며 기자재 시험인증센터 설립 계획도 발표했다.

중국도 지난해 2월 해양플랜트 매출을 2015년까지 2000억 위안(24조), 2020년까지 4000억 위안(48조)으로 끌어올리겠다는 비전을 공표했다. 또 세계 시장 점유율을 2015년까지 20%, 2020년까지 35%로 확대하고, 주요시스템과 설비의 국산화율을 2015년 30%, 2020년까지 50%를 달성하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이를 위해 환발해지역, 양쯔강델타 지역, 주강 델타 지역 등을 3대 해양플랜트 제조업 집적지로 조정한다는 계획이다.

한국, 중국보다 한발 늦게 해양플랜 산업에 관해 종합적인 육성책을 마련 중인 일본은 한국의 해양플랜트 산업이 정부의 해양기술 연구·개발(R&D)예산 증가에 따라 시장점유율을 확대하는 것을 크게 경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박광서 한국수산해양개발원 부연구원은 “일본 정부는 해양플랜트 산업을 그린성장 전략의 핵심으로 꼽고 경쟁력을 갖추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고 있다”며 “아직 구체적인 실천 계획이 나오지는 않았지만 해양플랜트산업을 둘러싼 한·중·일 삼국대전이 시작된 듯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