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지하철 역사 미세먼지 전광판 설치…환경ㆍ화학부문 업무계획 발표

by김경은 기자
2022.01.13 12:01:52

2022년 환경부 환경보건·화학안전 분야 업무계획 발표
환경오염 피해 인과관계 나오기 전 치료 지원
층간소음 기준 강화

[이데일리 김경은 기자] 앞으로 지하철과 버스 등 대중교통으 공기질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환경피해 지역 주민들에 대한 건강실태조사를 지속 실시하고, 인과관계 규명 이전에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회복 지원 사업을 추진한다.

환경부는 13일 포용적 환경서비스 확대를 주제로 올해 환경보건국의 중점 환경보건·화학안전 정책을 이같이 중점 추진한다고 밝혔다.

환경취약지역 건강영향조사 및 취약계층 보호를 위해 오염물질 배출시설과 거주 지역이 혼재된 난개발지역 26곳과 석탄화력발전소 5곳(2017~2025년) 주변지역에 대한 유해물질 노출상태 및 주민 건강실태를 조사한다.

환경오염 피해 가능성이 높은 지역에 사는 주민은 배출시설과 건강피해 간의 인과관계가 명확하게 규명되기 전이라도 건강검진과 치료를 지원받을 수 있다.

지하철, 시외버스 등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국민들은 차량 내부의 실내공기질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연내 전국 모든 지하역사에 전광판을 설치한다는 계획이다.

층간소음 기준이 강화되고 어린이활동공간의 환경 기준도 강화한다.



환경부는 국토교통부와 협의해 층간소음 기준을 강화하고, 층간소음 갈등의 초기 예방을 위해 공동주택 관리주체용 교육 과정을 개발할 예정이다. .

4월부터 어린이집·유치원 등 어린이활동공간에는 전보다 강화된 납과 프탈레이트 기준이 적용된다.

석면 슬레이트 주택 철거 지원액을 상향(가구당 334→352만원)하는 한편, 슬레이트 철거 중장기 계획, 석면함유물질 관리방안 등의 내용을 담은 제3차 석면관리 기본계획(2023~2027년)을 수립한다.

또 국민들이 매장 등에서 살균제 등을 구매할 때 제품에 어떤 성분이 들어있는지 확인할 수 있으며, 스마트폰 카메라로 제품 겉면에 표시된 정보무늬(QR코드)를 비추기만 하면 된다.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한 광화학 카메라 등을 통해 노후산단을 지속적으로 살피며, 화학사고 의심 상황을 조기에 감지한다. 의심 상황이 포착되면 무인기(드론)를 띄워 현장을 확인하는 등 화학사고의 신속한 대응이 이뤄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