팔순의 조정래…돈 둘러싼 인간 군상의 비극 파헤치다

by김미경 기자
2023.11.22 12:11:33

4년만의 신작 장편소설 ‘황금종이’ 출간
운동권 출신 변호사 주인공 중심
돈에 얽힌 비극 옴니버스식으로 구성
“내 안의 욕심 바꿀 단초됐으면…”
등단 60돌 퇴문식, 다시 태어나도 작가 되고파

소설가 조정래가 20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장편소설 ‘황금종이’ 출간기념 기자간담회에서 질문에 답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이데일리 김미경 기자] 2, 3년 전까지만 해도 학생들의 1순위 장래희망은 ‘공무원’이었다. 보장된 정년과 퇴직 후 연금 등 높은 안정성이 주된 이유였다. 일각에선 청년들이 도전하기보다 일찍부터 현실에 안주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왔다. 이 말도 옛말이 될 것 같다. 통계청이 지난 8일 발표한 2023년 사회조사 결과에 따르면 국내 13~34세 청년·청소년의 대기업 취업 선호도(27.4%)는 직전 조사(21.6%)보다 강해졌고, 공무원 선호 비율(21.5→18.2%)은 하락했다. 직업 선택에서도 ‘돈 많이 주는 직장이 최고’라는 인식이 더 팽배해졌다는 분석이 나온다.

돈을 향한 우리 사회(인간)의 민낯을 파헤친 신작이 나왔다. 돈을 뜻하는 ‘황금종이’(해냄)를 제목으로 내건 조정래(80) 작가의 두 권짜리 소설이다. 2019년 ‘천년의 질문’ 이후 4년 만에 들고 돌아온 장편이다. ‘태백산맥’, ‘아리랑’, ‘한강’ 등의 작품으로 우리 현대사를 알려온 조 작가는 ‘과연 돈이란 무엇인지’ 이 통렬한 질문을 독자에게 던진다.

조 작가는 20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기자들과 만나 “인간사 80~90% 이상은 다 돈이 야기하는 문제다. 돈이 인간을 어떻게 구속하고 지배하는지, 인간이 왜 돈에 매달릴 수밖에 없는가를 소설로 쓰고자 했다”며 집필 배경을 설명했다.

‘황금종이’는 촉망받는 신임 검사였으나 재벌 비리 의혹을 제기했다가 법복을 벗은 이태하 변호사가 돈에 얽힌 각종 사건을 맡으며 전개되는 옴니버스 형식의 소설이다. 매일 4~5시간씩 원고지에 써 내려가며 약 1800매 분량의 이야기를 완성했다.

우리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갖가지 돈 문제들이 나온다. 어머니 몫의 유산마저 빼앗으려 소송을 건 딸, 유산이 줄까 봐 아버지의 만혼을 저지하는 자녀들과 장례식 뒤 아버지의 금고를 습격한 형제들의 난타전 등 돈을 둘러싼 인간 군상들의 비극을 그렸다.

조정래 작가의 신작 장편소설 ‘황금종이’ 1, 2권(사진=해냄).
작가는 “우리 모양이 어떤 꼴인가. 인간의 모습이 얼마나 추하고 문제가 있는가 함께 생각해보는 마당으로 만들고 싶었다”며 “내 욕심의 악마가 얼마나 큰가 깨닫고, 그것을 바꾸고자 하는 철학적 사고의 단초가 소설로 마련되면 좋겠다”고 했다.



소설 속 주인공은 대학시절 운동권 선후배인 이태하 변호사와 정신적 멘토인 선배 한지섭이다. 조 작가는 이들에 대해 “한국 사회의 이상적 지식인으로 꾸며낸 인물”이라고 말했다. 그는 “군부독재를 밀어내고 민주화를 이룬 게 운동권 출신들”이라면서 “당시 (민주화) 운동을 했던 사람들이 (한지섭처럼) 초심을 잃지 않았다면 그야말로 국민을 위한 세상이 됐을 것”고 쓴소리했다. “자기 욕심을 차리는 권력욕 때문에 변질돼서 그 존재가 희미해지고 매도의 대상이 돼버렸어요. 변하지 않는 마음을 갖는 것이 중요한데 교육자도, 종교인도, 정치인도 그 항정(恒定)이 없어 이익 앞에서 흔들려버린 거죠. 그것이 인생의 가장 보편적인 현실일지도 모르겠습니다.”

소설은 마지막 장면에서 이태하 변호사를 어려운 질문 속에 던져놓는다. 그는 자녀 유학비를 마련할 수 있는 성공보수 10억원짜리 사건을 수임할지 고민에 빠진다. 작가는 동시에 독자를 향해 묻는다. ‘당신은 어디에 속하는가.’

작가는 이번 작품으로 자신의 문학 인생 3기를 열었다고 했다. 그는 “전반기에 단편·중편을 시작해서 ‘태백산맥’, ‘아리랑’, ‘한강’ 등 민족의 역사와 현실의 모순 갈등을 기록한 때가 2기라면, 마지막 3기는 인간 본성의 욕구 등을 탐구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등단 53년 차인 조정래는 작가로서의 마지막을 준비 중이다. 조 작가는 “인생을 정리하면서 두 가지 소망이 있다. 결혼 60주년에 집사람과 회혼식을 올리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등단 60주년(2030년)에 퇴문식을 하는 것”이라며 “인생의 마지막 작품으로는 우리 영혼의 문제와 내세, 불교적 세계관에 관한 내용으로 문학 인생을 마칠까 한다”고 전했다.

“저는 다시 태어나도 작가가 되고 싶어요. 해야 할 일이 있으니까요. 저는 뼈끝까지 스며들어버린 우리 사회의 모순을 작가로서 최소한이나마 막아야 한다는 생각입니다. 물론 그렇다고 제가 바라는 세상은 오지 않겠죠. 그러나 노력하다가 죽는 것이 작가입니다.”

소설가 조정래가 20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장편소설 ‘황금종이’ 출간기념 기자간담회에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